[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올해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대유행은 그동안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최악의 감염병 사태로 기억될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는 지난 3월 대구·경북지역에서 신천지발 확진자 급증에 따른 의료인력 및 병상부족으로 대구, 경북지역의 의료체계는 붕괴 직전까지 내몰린 경험을 했다.

취재부 신형주 기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 중증환자 병상 확보를 위해 16개 국립대학교병원장과 회의를 개최하고 긴급하게 가동할 수 있는 중증환자 치료병상을 3월 중 180여 개까지 확보하기로 했다.

특히, 전국 80여개의 상급종합병원이 추가적인 병상 확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의를 진행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들의 협조를 얻어냈다.

당시 김강립 1총괄 조정관은 당시 "중증환자의 치료역량을 갖춘 상급종합병원 병상 확보가 추가 피해 최소화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며 "상급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급의 역량을 갖춘 민간 종합병원과 병상 확보에 대해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

3월의 대유행은 누구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정부 대응에 의료계 역시 적극 참여하면서, 공공의료 확대의 필요성이 부가됐다.

이후, 확진자가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정부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된 병원을 일반 병상으로 전환하고 K-방역의 성공이라는 자평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공공의료 확대를 위해 인프라 확대보다 의료인력 확대에 방점을 찍고, 공공의대 신설 및 의대정원 확대라는 카드를 꺼내면서 코로나19에 전력을 쏟아야할 시점에 의료계와 갈등만 야기했다.

정부가 자화자찬을 하는 동안 의료계를 비롯한 감염 전문가들은 올해 가을부터 겨울 사이 대유행이 다시 발발할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대유행을 대비할 수 있는 인프라 확대 방안 마련을 지속적으로 건의해 왔다.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은 올해 하반기인 가을과 겨울철 대유행이 우려된다며, 수도권 등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집단 감염 지역 및 생활치료센터로의 신속한 인력 배치와 중환자 병상 추가 확보 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코로나19와 같은 재난적 상황은 그 양상과 수요를 미리 예측하는 것이 어렵고, 격리실의 설치, 관리, 유지에 많은 자원이 수반돼 무작정 공급량을 확충하는 방식은 비효율적이라는 입장만 고수했다.

전문가들이 6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대유행 재발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을 요구해 왔지만 K-방역의 우수성만 자찬했던 정부는 곧 닥칠 상황을 간과하고 있었다. 

결국, 12월 들어 1일 확진자가 600명대를 넘어 중환자 병상이 부족한 상황이 재연되고 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국내 신규환자 600명은 국내에서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이후 세 번째로 높은 환자 발생 규모"라며 "기존의 400~500명대가 계속 유지되도 현재의 중환자 병상이 2주, 그리고 빠르면 열흘 뒤면 소진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중환자를 볼 수 있는 상급종합병원 중환자 병상을 추가적으로 확보하는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도 했다.

지난 3월과 달라진 것 없는 대응 방식이 재연되고 있는 것.
 
국민들과 의료계는 보건당국이 만리 앞을 내다보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명견만리(明見萬里)까지 바라지 않는다.

최소한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수 없으나 앞으로의 일을 조심하면 같은 잘못은 범하지 않을 수 있는 내자가추(來者可追)의 자세는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