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부 정윤식 기자

[메디칼업저버 정윤식 기자] 코로나19(COVID-19) 대유행으로 촉발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5월 6일부로 종료되고 생활 속 거리두기가 시작됐다. 한 단어만 바꾼 표현 때문에 말장난처럼 들릴 수도 있으나 정부의 의도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이제 방역은 일상화가 된다'는 뜻이다.

즉, 코로나19 이전과 같은 생활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선포한 것과 다름없다. 실제로 코로나19는 우리 사회 속 모든 생활 패턴과 방식을 변화시켰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습관이 됐고, 같은 공간 안에서 사람들은 적정 거리를 두고 대화한다.

특히, 코로나19는 의료·교육·수업·근무·배달·유통·회의·마케팅 등에서 비대면을 익숙한 일로 바꿨다.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온라인을 통해 교육하며 소통하는 모습이 이슈가 되고 재택근무 중 시행된 영상회의는 영화 속 한 장면을 떠올린다.

이 가운데 의료계에서 화제가 된 것은 한시적이라는 조건 하에 시행된 전화상담·처방, 다시 말해 비대면 진료다. 비대면 진료는 흔히들 표현하는 원격의료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나 그동안 우리가 알던 원격의료와 완벽히 동일한 것은 아니다.  

게다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정례브리핑을 담당하는 보건복지부는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비대면 진료를 원격의료라고 공식적으로 표현한 적 없을뿐더러, 전화상담·처방을 계기로 원격의료를 확대·발전시키겠다고 말한 적은 더더욱 없다.

단지 청와대와 복지부 외의 일부 정부부처들이 의료뿐만 아니라 비대면 서비스 모두를 포괄해 미래 산업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했을 뿐이다. 복지부가 아직까지 원격의료를 적극 추진할 의지를 공식 표명하지 않은 것으로 봐야 맞는 이유다.

하지만 복지부는 원격의료의 판을 크게 만들지 않겠다는 말도 하지 않았다. 이 얘기는 반대로 말하면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와 논의만 된다면 불가피하게 시행했던 전화상담·처방을 시작으로 원격의료를 확대하겠다는 암묵적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코로나19는 우리 사회, 특히 의료계에 큰 변화를 주게 될 것임에는 틀림없고 정부와 의료계가 더 바빠질 것이라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원격의료에 대한 정부와 의료계의 합의점이 언제, 어디에서, 얼마만큼 생겨날지는 예측하기 어렵고 그것이 기회일지 위기일지도 아직 모른다. 혹은 한걸음도 나아가지 못할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이전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가 형성된 것도 사실이니 복지부가 의료계의 의견에 발 빠르게 귀 기울여 그동안 축적한 잠재력을 끄집어 낼 필요는 있다. 만약 서로 합의된 범위에서 일부 유의미한 진척이 있다면 대한민국 의료계가 코로나19의 성공적 방역 성과를 넘어 더 큰 영향력과 우수성을 기반으로 전 세계에 맹위를 떨칠 수 있지 않을까.

아니면,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상황이 발생 했을 때 시스템적으로 정부와 보건의료계가 즉시 가동할 수 있는 모델을 단계별로 구축해 우선 적용하는 것도 합리적인 절충안이 될 수 있다. 이미 코로나19 유행 기간 동안 시행착오를 겪은 모든 보건의료 대안과 정책을 비슷한 일이 생겼을 때 그대로 앉혀 효과적 대응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말이다.  

코로나19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K-방역'의 모든 시스템들 △생활치료센터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감염병전문병원 △국민안심병원 △요양급여 선지급 △정기적 브리핑 △마스크 5부제 등이 여기에 해당 될 수 있다. 물론, 비대면 진료(원격의료)도 포함이다. 

코로나19 방역에 있어서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는 의료계의 노력과 모범사례가 헛되지 않도록, 정부는 의료계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위와 같은 시스템을 체계화·모델화 해 감염병 등의 위기에 처했을 때 가장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하는 국가로 거듭나는 데 혼신을 다해주길 바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