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서대원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안전한 뇌전증 수술 치료 길 열려"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측두엽 뇌전증 수술 중 운동유발전위 검사를 통해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은 서대원 교수(신경과)팀은 1995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측두엽 절제수술을 진행한 892명의 환자를 추적관찰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실제 합병증 예방에 효과적인지 분석했다. 

뇌전증 수술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중요한 치료법이다. 

그 중 측두엽 절제 수술은 운동 신경계와 거리가 멀지만 일부 1~3% 환자들이 편마비 등 합병증을 얻게 된다. 

최근 영구적으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신경생리 전문의, 외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진행하는 대표적 다학제 진료법으로, 운동유발전위 검사와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가 주로 이용된다. 

삼성서울병원 수술 중 신경계 감시팀은 운동유발전위 검사와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를 뇌전증 측두엽 절제 수술 동안 지속적으로 추적관찰하며 신경계 손상이 일어나는지 파형의 이상을 확인했다. 

파형 이상의 판단 기준은 기본 파형의 진폭이 수술 중에 5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정했고, 만일 실시간 추적감시에서 파형의 진폭이 감소하면 구급처치를 시행해 영구 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했다. 

신경반응 진폭이 감소하는 대부분의 원인은 과도한 견인(50%)이었다. 이외에 뇌척수액 소실(30%), 저혈압·혈관수축(10%) 등이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해 측두엽절제술을 시행한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시행하기 전 수술받은 613명과 감시를 시행한 후 수술을 받은 279명의 합병증 여부를 비교했다. 

그 결과, 수술 중 신경계 감시 시행 전 환자들 중 영구적인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들은 총 7명이였다. 

편마비 1명은 MRI 상 뇌기저핵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나머지 6명은 중증도는 경미하지만 통증을 동반한 반신부전마비(3명)와 경도 반신부전마비(3명)와 같은 합병증이 발생했다. 

이들은 기저핵 외에도 미상핵, 시상, 속섬유막에 발생한 뇌경색이 원인이었다.

수술 중 신경계 감시를 진행한 환자들 중 진폭이 50% 이상 감소한 환자들은 총 10명 이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10명에서 모두 변화를 감지할 수 있었고,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2명에서만 변화를 감지했다. 
운동유발전위 검사로 이상 반응이 확인되어 바로 대처한 10명 환자들 모두 합병증이 1달 안에 회복되었다.

서 교수는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은 국내에서는 잘 정비된 보험 제도와 최근 발전된 ICT기술이 접목되면서 뇌혈관, 뇌종양, 척추, 기능 뇌수술 등 뇌신경계 관련 여러 수술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며 "수술 중 신경계 감시법이 난치성 뇌전증의 측두엽뇌절제술에서 ‘합병증 0%’로 효과적임이 이번 연구를 통해 증명된 만큼 적극적으로 활용, 뇌전증 환자들과 많은 뇌신경계 질환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수술 받으면서 완치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7월 게재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