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건강검진 불균형도 심각···대한비뇨의학회 "PSA 검사, 국가암검진 포함해야"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절반(50.6%)은 진단 시점에 이미 고위험군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조기 발견을 위한 전립선특이항원(PSA) 검사를 국가암검진에 신속하게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최근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 JKMS 2025년호에는 2010~2020년 전립선암으로 진단된 2만 7057명의 환자를 대규모로 분석한 연구 논문이 게재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단 당시 환자 절반 이상인 50.6%는 이미 질환이 진행된 고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국내 전립선암 조기 발견 체계의 심각한 한계를 보여주는 결과다.
특히 저위험 전립선암 비율은 2010년 11.4%에서 2020년 7.6%로 되레 감소했다.
연구진은 "서구 국가에서는 전립선특이항원(PSA) 선별검사 도입 이후 저위험군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한국은 이와 반대로 저위험군 비율은 감소하고, 고위험군 비율이 높아지는 역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국가 차원의 조기검진 체계가 부재한 결과"라고 분서했다.
지역 간 건강검진 불균형도 두드러졌다. 농어촌 지역 환자의 고위험 비율은 55.4%였는데, 이는 도시 47.7%보다 높은 수치였다.
논문 교신저자인 이화의대 고영휘 교수(비뇨의학과)는 "이번 대규모 다기관 연구를 통해 국내 전립선암의 심각한 진단 현실을 확인했다"며 "환자의 절반 이상이 고위험 단계에서 진단되는 것은 국가 차원의 조기 검진 체계가 부재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립선암은 혈액검사만으로 쉽게 조기 발견이 가능한 만큼, PSA 검진을 국가암검진 항목에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비뇨의학회 역시 이번 연구를 결과를 근거로 '전립선암 국가검진 도입'이 시급하다고 했다.
대한비뇨의학회 서성일 회장(삼성서울병원 비뇨의학과)은 "피검사를 통해 조기에 전립선암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PSA 검사를 국가암검진 항목에 포함하고, 농어촌 및 취약지역 등 검진 사각지대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립선암 조기 검진 도입과 더불어 과잉진단 및 과잉치료를 방지할 명확한 원칙을 마련하고, 환자와 의료진이 함께 의사결정을 내리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