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학회 "한의계 회색지대 이용 현대 의료기기 사용 확대 시도"
"대응 위해 어떤 단체와도 손 잡을 것...의협 컨트롤타워 역할 외면"

한구초음파학회는 28일 을지로 롯데호텔서울에서 추계 학술대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한구초음파학회는 28일 을지로 롯데호텔서울에서 추계 학술대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한국초음파학회는 한의계가 대법원 판례와 의료법 사이 회색지대를 이용해 초음파 등 현대 의료기기의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의사협회가 대응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초음파학회는 28일 을지로 롯데호텔서울에서 추계 학술대회 기념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신중호 회장은 "초음파 검사는 의사가 직접 환자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진행하는 진료행위"라며 "해부학적 지식과 병리학의 이해가 동반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는 만큼, 한의사와 간호사의 초음파 기기사용을 인정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병원 및 학회에서 간호사 초청 강연, 워크숍, 실습 세션 등이 진행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특히 몇몇 병원에서 '간 초음파 탄성도' 검사를 간호사에게 시행하게 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신 회장은 "간 초음파 탄성도 검사 역시 결국 초음파 검사의 하나로, 실제 최신 초음파 검사 기기에 내재된 기능"이라며 "이를 초음파와 분리해 인증제를 실시하거나 간호사에게 맡기는 행위는 눈 감고 아웅하는 것과 다름없다"고 말했다.

한의계가 대법원 판결 이후 적극적으로 초음파 기기를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X-레이 등의 현대 기기 사용 및 예방접종 등 의료행위 영역까지 넘보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이정용 이사장은 "한의계가 대법원 판례와 의료법 사이의 회색지대를 이용해 초음파뿐만 아니라 혈액검사, X-레이, 예방접종 등 현대의료기기 사용 의료 행위를 하겠다고 요구하는 중"이라며 "이는 운전면허 없이 운전하겠다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이어 "법원은 비침습적이라는 이유로 위험성이 없다고 판단했지만, 한의사가 초음파 검사를 했음에도 난소암을 발견 못한 것은 환자에게 치명적인 위해"라며 "정부는 의료계의 목소리와 국민 정서 등을 반영해 명확한 기준을 가진 정책을 마련해 달라"고 전했다.

해당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계가 힘을 모아야 함에도 의협과 타 학회들이 무관심하다는 아쉬움도 밝혔다.

이 이사장은 "우리 학회는 한의사와 간호사의 초음파 사용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 왔으나 다른 초음파학회들은 침묵하고 있다"며 "이들을 묶어 대응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할 의협도 아무런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 회장도 "의사가 아닌 이들의 초음파 사용 위험성을 알리고, 초음파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면 어떤 단체와도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초음파학회는 의료계의 초음파 기술 향상을 위한 초음파 교육과 인증제도에도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 회장은 "우리 학회는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회도 고르지 않고 매달 30~40명씩 핸즈온 교육을 실시했다"며 "국내에서 가장 많은 핸즈온 강의를 실시했으며, 교육생도 가장 많이 배출했다"고 말했다.

인증의 제도도 1, 2등급에 나눠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1단계는 일반 인증의, 2단계는 지도전문의다.

이번 추계학술대회에서는 총 4부에 걸친 초음파 핸즈온 교육과 1~2부 근골격 초음파 핸즈온 교육이 진행됐다. 학술대회 참석 신청자는 총 321명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