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구팀, 위약 대비 스프라바토 단독요법 치료 유효성 분석
4주차에 고용량군에서 MADRS 점수 최대 6.8점 개선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치료 저항성 우울증(TRD) 환자에게 처방되는 스프라바토(성분명 에스케타민)가 경구용 항우울제 처방 없는 단독요법으로도 우울증 증상을 유효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구용 항우울제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는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에서 유효한 치료 옵션을 넓힐 뿐만 아니라, 기존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입증된 스프라바토의 유효성을 재차 증명하는 데이터다.
스프라바토, 용량 무관하게 TRD 환자에서 MADRS 점수 낮춰
존슨앤존슨 신경과학부 Adam Janik 박사 연구팀은 성인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스프라바토 단독요법의 유효성을 분석했다.
스프라바토는 지난 2019년 치료 저항성 우울증에 대해 미국식품의약국(FDA) 승인을 획득할 당시 경구용 항우울제와 병용하는 방식으로 허가됐다. 이후 올해 1월 경구용 항우울제 투약 없는 단독요법으로도 추가 허가를 받은 바 있다.
연구팀은 단독요법으로 스프라바토의 효능에 대한 평가가 아직 부족하다고 보고, 경구용 항우울제 처방 없이 스프라바토 단독 처방 시 우울증 증상을 얼마나 개선하는지 살폈다.
이를 위해 성인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 378명을 대상으로 한 이중 맹검, 다기관, 무작위 임상연구를 통해 스프바라토 56mg과 84mg 2개 용량의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이중 맹검, 위약 대조 무작위 임상4상은 2020년 1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미국 내 51개 외래 센터에서 진행됐다.
이번 연구는 정신증적 특징이 없고 DSM-5판 기준 주요우울장애(MDD)를 앓고 있는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특히 우울증 삽화가 지속되는 동안 2개 이상의 경구용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이 25% 이하로 개선돼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경우 임상연구 참여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봤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2주 이상 항우울제를 복용하지 않는 기간을 거쳤다. 이후 1:1:2 비율로 스프라바토 56mg, 84mg 혹은 위약을 4주간 주 2회 투여하는 군에 무작위 배정됐다.
연구 1차 목표점은 시작 시점에서 28일차까지 몽고메리-아스버그 우울증 평가 척도(MADRS) 점수 변화로 정해졌다.
주요 2차 목표점은 첫 투여 후 24시간(2일차) 이후 MADRS 점수 변화로 정의했고, 이는 반복 측정을 통한 혼합 효과 모델을 활용해 분석했다.
MADRS 점수 중증도 기준을 충족한 378명의 환자들은 스프라바토 56mg군(86명)과 84mg군(95명), 위약군(197명)으로 무작위 배정됐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45.4세였고 61.1%(231명)가 여성이었으며 시작 시점 기준 MADRS 총점은 37.3점으로 보고됐다.
스프라바토 투여 후 28일차에 스프라바토군과 위약군의 최소제곱법 기준 평균 차이는 스프라바토 56mg군에서 -5.1점을 기록했고(95% CI -7.91~-2.33; P<0.001) 84mg군에서는 -6.8점으로 보고돼(95% CI -9.48~-4.07) 모두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분석에서 측정된 효과 크기(effect size)는 스프바라토 56mg군 0.48과 84mg군 0.63으로 나타났다.
스프라바토 투여 24시간 후 측정한 치료 효과도 위약군 대비 스프라바토군에서 더 높았다. 스프라바토 56mg군은 -3.8점(95% CI -6.29~-1.22; P<0.006), 84mg군은 -3.4점 개선돼(95% CI -5.89~-1.00)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개선된 치료 효과를 보였다.
스프라바토군에서 보고된 가장 흔한 치료 관련 부작용은 △메스꺼움 24.8%(56명) △해리 24.3%(55명) △현기증 21.7%(49명) △두통 19.0%(43명) 등이었다.
연구를 진행한 Janik 박사는 "스프라바토 단독요법은 경구용 항우울제와 관련된 치료 제한 우려나 불충분한 반응을 경험하는 환자의 미충족 수요를 해결해 성인 치료 저항성 우울증 환자의 치료 옵션을 확대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스프라바토가 경구용 항우울제에 적절히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서 단독요법으로 적절히 쓰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JAMA Psychiatry 7월 2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