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종 진료비 8.8% 감소, 전공의 집단 사직 여파에 병원계 경영난 지속
지원금은 고육지책일 뿐, 과거에도 수가 반영한 사례없어

2026년도 병원 유형 1차 수가협상이 16일 오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진행됐다.
2026년도 병원 유형 1차 수가협상이 16일 오후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 진행됐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대한병원협회가 지난해 집행된 각종 정부 지원금을 수가협상에 반영해야 한다는 일부 가입자 단체의 주장에 '어불성설'이라고 잘라 말했다.

비상 상황에 운영을 위해 지급된 정부 지원금을 수가에 반영하는 것은 코로나19 (COVID-19) 상황에서도 없었다는 주장이다. 

16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영등포 남부지사에서는 2026년도 병원 유형 1차 수가협상이 진행됐다. 

병원 유형 수가협상단은 전공의 집단 사직 등 의료사태 이후 경영상 어려움에 처한 병원급 의료기관들의 상황을 명확한 근거와 함께 대변하겠다는 입장이다.  

협상단 대표인 대한병원협회 유인상 제1보험위원장은 "전체 유형의 진료비 평균 인상률이 3.4%에 준하는데, 병원은 0.7%에 불과하며 그 중 상급종합병원은 8.8%가 감소했다"며 "뿐만 아니라 지금도 이송·회송 등의 의료전달체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병원기관의 부담이 큰 상황"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인건비에 대한 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병원 근로자의 근무시간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면서, 인건비 역시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병원계는 회계와 통계 등을 통해 관련 근거를 제시하고, 수가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와 올해 집행된 정부 비상진료 지원과 건보 선지급금 등을 협상에 반영해야 한다는 일부 가입자단체의 주장에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유 위원장은 "선지급금은 대출의 형식이라 지원금이라고 할 수 없으며, 비상진료 지원금 등은 필수인력들이 의료기관을 떠나지 않게 하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실제 인건비로 대부분 사용됐다"며 "과거 코로나19 상황 등 의료위기 상황에서 정부 지원금이 집행됐으나, 이를 수가협상에 반영한 적은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2026년 2차 수가협상은 22일과 23일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