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이다혜 교수, 코로나19와 소아청소년 당뇨병 발생 간 연관성 조사
팬데믹 이전 대비 이후에 20세 미만 소아청소년에서 1형 1.19배·2형 1.41배↑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기간에 국내 소아청소년 당뇨병 환자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이다혜 교수(제1저자), 서울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박재현 교수(교신저자),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화영 교수(제1저자), 김재현 교수(교신저자) 공동 연구팀(공저자 고려대안산병원 박지영 교수)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새롭게 발병한 1형 및 2형 당뇨병을 조사했다.
지금까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아시아 소아청소년 당뇨병 발생률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고, 특히 코로나19와 소아청소년 당뇨병 발생 간 연관성은 연구 결과마다 상반돼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7년 1월~2022년 2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20세 미만 소아청소년 중 1형 및 2형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은 환자 1만 3639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에 비해 팬데믹 이후인 2020~2022년에 20세 미만 소아청소년에서 1형 당뇨병은 1.19배, 2형 당뇨병은 1.41배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특히, 팬데믹 첫해인 2020년 당뇨병 진단 시 급성 합병증인 당뇨병성 케톤산증 동반율은 1형 당뇨병의 경우 31.3%에서 42.8%로, 2형 당뇨병의 경우 2.9%에서 6.0%로 증가했다. 하지만 다음해에는 34.5%와 3.2%로 각각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반면 1형 당뇨병에서 당뇨병성 케톤산증 발생 시 중환자실 입원율이 팬데믹 이전 8.3%에서 이후 첫해 14.3%, 이듬해 13.1%로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진단에 PCR 검사가 필수적이었던 시기인 2020년 3월~2022년 2월에는 코로나19 소아청소년 환자와 비감염 환자의 당뇨병 발생률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1형 및 2형 당뇨병 발생률과 중증도가 증가했음을 아시아 국가 기반 연구로 최초로 확인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다혜 교수는 "이번 연구로 코로나19가 팬데믹 첫 해뿐 아니라 다음해까지 소아청소년의 당뇨병 발생에 장기적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했다"며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보다 사회적 거리두기, 신체활동 감소, 비만 증가 등 팬데믹 관련 환경적 요인이 당뇨병 발병에 주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박재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뇨병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정책 수립 근거를 마련하고, 향후 공중보건 위기에서의 대처 방안을 제시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논문은 JAMA Pediatrics 12월 9일 온라인판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