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조원경 교수팀,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 대상 합병증 발생 위험 등 장기 추적
젊은 당뇨병 환자라면 성장기에 안정적인 혈당 유지 중요해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소아청소년을 비롯한 젊은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신장 합병증과 사망 위험이 일반인 대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조원경 교수·인천성모병원 김성언 교수(소아청소년과)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NHIS) 표본 코호트(NSC)를 이용해 2006년부터 2019년까지 30세 미만 1·2형 당뇨병 환자 대규모 장기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소아청소년 및 젊은 당뇨병 환자는 일반인 대비 심근경색·뇌졸중 등 심혈관질환과 신부전 발생,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6.76배, 2형 당뇨병 환자에서 5.07배 높았다.
뇌졸중 발생 위험은 1형 당뇨병 환자에서 4.65배 2형 당뇨병 환자에서 3.3배로 증가했고, 신부전 발생 위험은 각각 20.92배, 2.78배 높아졌다.
사망 위험은 일반인 대비 1형 당뇨병에서 3.69배, 2형 당뇨병에서 3.06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소아청소년 및 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심혈관 합병증과 신부전 발생 위험, 조기 사망률이 높으며 성인기 이후에도 합병증 위험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원경 교수는 "이번 연구는 소아청소년 및 젊은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신장 합병증과 사망 위험을 분석한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개방형 빅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당뇨병 환자의 건강 실태를 정밀 평가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혈당 관리는 필수다. 특히 소아청소년 및 젊은 당뇨병 환자는 성장기 동안 안정적인 혈당 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성언 교수는 "소아청소년 및 젊은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공중보건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며 "향후 예방적 관리 모델 개발과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당뇨병 환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당뇨병학회(ADA) 국제 학술지 'Diabetes Care' 최신 호에 실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