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우울증 외래 2차 평가결과 공개 ... 1차 대비 3.8점 상승

2023년(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에서 동네의원 주요 평가결과 (제공 : 심사평가원)
2023년(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에서 동네의원 주요 평가결과 (제공 : 심사평가원)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우울증 외래 적정설 평가에서 전반적인 결과가 상향됐으며, 특히 동네의원에서 지표 개선이 두드러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4일 심사평가원 누리집과 모바일 앱을 통해 2023년(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2차 평가대상은 2023년 1월부터 6월까지 외래에서 우울증 환자를 진료한 4,114개소로, 평가결과 종합점수는 평균 47.0점이며, 1등급 우수기관은 895개소(21.8%)이다.

평가기준은 6개로, 주요 내용은 ∆우울증 치료 효과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방문하도록 했는지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우울증상을 객관화된 평가도구로 평가했는지, ∆우울증 재발이 없도록 항우울제를 충분한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도록 처방했는지 등이다.

먼저‘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은 각각 42.3%, 23.3%로 1차 대비 2.9%p, 1.8%p 증가했다.

‘초기평가 시행률’은 44.7%로 1차 대비 13.3%p 증가했고, ‘재평가 시행률’은 14.1%로 8.5%p 감소했으나, 이는 산출기준이 달라졌기 때문이며 1차와 동일 기준을 적용하면, 시행률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도 각각 28.0%, 17.4%로 1차 평가 대비 2.2%p, 1.0%p 증가했다.

전미주 평가운영실장은“이번 2차 평가는 우울증 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동네의원의 결과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지표에서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심사평가원은 평가를 통해 지속적으로 우울증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울증 증상이 있으면 심사평가원의 평가정보를 활용해 주저하지 말고 의료진에게 상담을 받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최근 6년간(2018~2023년) 우울증으로 외래 진료를 받은 환자는 매년 증가추세로, ’23년에는 ’18년 대비 36.8% 증가한 144만 1,676명이다.

우울증 환자의 70~90%는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증상이 완화되더라도 유지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50~80%는 재발할 위험이 있어, 재발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도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