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우울증학회 추계학술대회 17일 개최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높이기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 필요성 강조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입법 및 정책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임상우울증학회(회장 김영식)는 17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열린 '2024년 추계학술대회 및 연수강좌'에서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 및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

먼저 만성질환으로 치료받는 중이거나 신체 이상 증상으로 일차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숨은 우울증 환자'의 조기 발견을 위해, 일차 의료 현장 또는 환자 스스로 사용 가능한 우울증 진단 및 치료술 개발과 보급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일차 의료 전문가들의 우울증 환자 관리 효과 제고를 위해 일차 의료 현장에서 수행하기에 적합한 우울증 진단 및 치료 절차의 표준화가 이뤄져야 하며, 우울증 치료와 관리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지역사회에서 중증 정신질환자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의 의뢰 및 회송 등 적절한 의료전달체계가 확립될 수 있도록 의료 현장에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최신 지식과 경험의 공유가 촉진돼야 하며,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지역사회에서 우울증 환자에 대한 차별이나 불이익을 금지하고,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법적·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학회 회장 김영식 교수(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명예교수)는 "학회는 전 국민의 우울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일차 의료에서 의사들이 우울증 진단 및 치료에 도움 되고자 정책적·법적 개선을 통해 우울증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활성화되도록 노력하겠다"며 "향후 우울증 진료 활성화로 우울증 환자의 사회 복귀를 돕고, 궁극적으로 모든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 및 건강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