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사이언스, 28일 임시주총 앞두고 경영권 확보 계획 및 중장기 전략 공개
"임시주총 결과와 관계 없이 임 대표 체제 지속…권리 행사에 문제 없어"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는 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26년 3월까지 그룹 경영권을 완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는 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26년 3월까지 그룹 경영권을 완전 확보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메디칼업저버 배다현 기자] 한미사이언스 임종훈 대표가 오는 28일 진행되는 임시주주총회 결과와 관계없이 경영권을 절대 사수할 것이란 의지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7일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그룹 경영권 확보 계획 및 회사의 중장기 성장 전략에 대해 밝혔다. 

이 자리에서 임종훈 대표는 "한미약품 그룹의 경영은 제3자나 기타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게 아니라 전체 주주들의 신임을 받는 이사회를 통해 이뤄진다"며 "결론적으로 28일 임시주총의 결과와 관계없이 저를 중심으로 하는 경영체제가 2027년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한미사이언스 측은 28일 열릴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에서 정관변경은 불가능하며, 설령 이사진이 5:5 동수로 재편돼도 임종훈 대표이사체제는 2027년까지 계속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새로운 이사진이 진입하더라도 임종훈 대표이사가 한미사이언스의 한미약품에 대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회사 측은 2개 법무법인의 검토 결과 이와 같은 권리 행사에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더불어 오는 12월 19일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41.4%의 지분을 보유한 한미사이언스의 요청이 받아들여지면 이사진 재편을 통한 새 리더십 구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봤다.

한미사이언스에 따르면 2025년 3월 정기주총 시 3자연합측 이사진으로 분류되는 3명의 이사진 임기가 만료되고, 2026년 3월 주총에서는 송영숙 회장의 임기가 만료돼 임종훈 대표 측을 지지하는 이사진 진입이 가능해져 지주사 지배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

이에 임종훈 대표는 늦어도 2026년 3월까지는 그룹 경영권을 완전히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027년 정기주총 시에는 임종훈 대표를 비롯한 4인과 한미약품 이사진 3인의 임기가 만료된다. 이에 그룹 경영권 장악 기간 내 경영 능력과 성과를 인정 받아 전 임직원과 이사회, 주주들의 선택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한미사이언스는 한미그룹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하고 2028년까지 매출 2.3조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한미그룹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하고 2028년까지 매출 2.3조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이를 위한 한미그룹의 중장기 성장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된 중장기 성장전략에는 신규 TA(Theraputics Area, 치료영역) 확대,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유망 기술 및 물질 선점, 헬스케어 밸류체인 사업 다각화, 제약 원료 CDMO 사업 확대, 온라인팜 유통 역량 강화 등의 세부 전략 과제들이 포함됐다.

회사 측은 이러한 중장기 전략 달성을 통해 2028년까지 매출 2.3조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M&A에 약 5500억원, R&D에 2000억원 등 향후 8000억원 규모의 추가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미사이언스의 지분구조는 현재 임종훈 대표 측이 25.6%, 송영숙 회장 등 3자연합 측이 33.78%, 친인척 3.10%, 가현문화재단 및 임성기재단이 8.09%, 국민연금이 5.89%를 보유하고 있다. 

임종훈 대표는 "오는 11월 28일 임시주총에서 가현문화재단, 임성기 재단이 공정하고 중립적인 의결권 행사를 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가용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재단이 본래 설립취지와 목저에 맞게 운영되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게 압박하겠다"고 강조했다.

양 재단이 한미사이언스를 비롯한 각 계열사의 기부금을 통해 운영되고 있는 만큼,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한쪽에 치우친 판단을 내리는 것이 어불성설이라는 입장이다. 

또 "분란을 해소하려면 가족의 화합이 필요하고, 한국 제약산업과 한미그룹의 미래를 위해 제3자의 개입은 중단돼야 한다"며 "절박한 경쟁환경 속에서 기업의 미래가 아닌 사익을 위해 비경영 전문가가 개입하는 것은 회사를 망치고, 직원들이 편을 나누게 하고, 인재들을 지쳐 떠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