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바른 사용 위한 성명서 발표
안전한 사용 위한 정부 모니터링도 강조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노보노디스크 비만 치료제 위고비의 등장으로 오남용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한비만학회도 우려를 표하고 나섰다. 

GLP-1 계열 비만 치료제는 위장 운동 속도를 느리게 하는 동시에 중추신경계에 포만감을 느끼게 해 식욕을 억제하고 체중을 감량하는 효과를 보인다. 

국내에서는 지난 15일부터 시장에 판매되기 시작했는데,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불법 판매 및 불법 광고 행위를 집중 단속하겠다고 경고했다. 

미용 목적으로 위고비를 입수해 유통거래하는 일이 출시 첫 주만에 발생하면서 오남용 우려가 현실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비만학회는 23일 성명서를 통해 "인크레틴 기반 항비만약물이 계속해서 국내 출시가 예정된 상태에서 우리 사회에서 오남용될 수 있는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학회는 인크레틴 기반 항비만약은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치료 대상자는 체질량지수(BMI) 기준으로 명확히 정해져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체중감량 효과와 함께 오심, 구토, 변비, 설사, 복부팽만감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특히 담낭질환으로 인해 담낭절제술을 시행 받을 위험이 높아지며, 장폐쇄와 위 내용물의 배출 지연으로 흡입성 폐렴이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학회는 "비만 치료 목적이 아닌 미용 등 적응증 이외 목적으로 사용 시 효과를 얻기보다는 부작용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이에 학회는 의사와 국민들에게 약물 적응증에 따라 치료 대상자에게 사용할 것을 촉구했다. 앞서 출시된 GLP-1 제제 노보노디스크 삭센다가 처방이 불가능한 치과나 한의원에서 불법 유통돼 미용 목적으로 사용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학회는 "인크레틴 기반 항비만약은 오남용을 줄이기 위해 불법적인 유통의 철저한 단속이 필요하다"며 "국내 부작용 자료도 부족한 만큼, 정부에서도 부작용에 대한 적극적인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위고비 출시에 맞춰 항비만약의 오남용과 부작용 문제에서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의사와 국민들의 현명한 판단과 정부기관의 적극적인 행동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