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결핵및호흡기학회·이주영 의원 국회서 정책토론회 개최
최준영 교수, 일차의료기관 흡입약제 상담·교육 수가 도입 제안
이진국 교수, 해외 사례 통해 정부 지원 근거 및 실효성 증명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만성호흡기질환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 교육상담 수가 도입 등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와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4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의실에서 '호흡기질환의 만성질환관리 제도 도입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일차의료기관서 흡입약제 처방할 수 있는 환경 마련돼야
가톨릭의대 최준영 교수(호흡기내과)는 '국내 천식·COPD 치료 현황 및 문제점'을 주제로 발제에 나섰다.
최 교수는 일차의료기관의 흡입약제 처방률을 높이기 위해 문진 상담료 지원과 흡입약제 교육상담 수가 도입을 제안했다.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에 천식과 COPD를 추가하자는 의견이다.
천식은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고용량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돼 일차의료기관의 흡입약제 처방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차의료기관의 흡입약제 처방률은 매우 저조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천식 환자 66.5%는 일차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고 있지만 일차의료기관의 천식 흡입약제 처방률은 39.7% 수준이다.
이는 일차의료기관에서 환자를 교육할 시간과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그 해결책으로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의 전략체계를 기반으로 질환 대상을 천식과 COPD까지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국내 의료진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진행한 결과 천식 흡입약제 처방을 꺼리는 이유로 교육 및 관리 부담이 꼽혔다"면서 "그렇다 보니 일차의료기관에서 흡입약제보다 경구제형을 더 많이 처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흡입약제 교육은 중증 급상악화를 44%, 입원율 71%를 감소시키는 만큼 일차의료기관에 대한 문진 상담료 수가와 흡입약제 교육상담 수가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증명된 국가 차원의 만성호흡기질환 관리 사업
이와 함께 천식과 COPD 관리를 위해 정부가 정책적 지원에 나선다면 효과를 볼 수 있다는 해외 사례도 제시됐다.
가톨릭의대 이진국 교수(호흡기내과)는 '해외사례에 기반한 호흡기 질환 치료 환경 개선을 위한 제언'을 통해 핀란드와 호주, 영국의 사례를 발표했다.
핀란드는 1994~2004년 10년간 National Asthma Programme을 추진했다. 해당 사업은 핀란드의 모든 의사를 대상으로 전면적으로 시행됐다. 그 결과, 천식 환자는 약 3.5~4배 증가한 반면 사망률과 입원률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러한 결과는 호주와 영국에서도 나온다.
호주는 The Asthma 3+ Visit Plan 사업을 추진했다. 일차의료기관의 천식 진료를 장려하기 위해서다. 사업명에서 알 수 있듯이 환자가 3회 이상 일차의료기관에 방문해 진료와 상담을 받는 사업이다. 그 결과, 환자들이 흡입약제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게 돼 증상과 삶의 질이 모두 개선됐다.
영국은 천식과 COPD를 비롯해 고혈압과 당뇨병, 관상동맥 등의 지표를 지정해 일정 점수를 달성하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사업을 추진해 사업 시행 7년 후 큰 성과를 이뤘다. 60점에 불과하던 질환의 질 점수가 80점을 넘기게 된 것.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있는 환자도 제대로 치료가 안 되고 환자들은 전부 대학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려고 한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외처럼 국가 차원의 정책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해외의 모든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일차의료기관에서 만성호흡기질환을 제대로 진료할 수 있도록 만들면 의료비는 절감이 된다"고 부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