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서울시청 조직 개편…공공의료추진단·감염병연궨터 축소
2일, 건강돌봄시민행동 "서울시민 보호에 얼마나 무관심한 지 보여준 것"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출처: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서울시청이 조직 개편을 단행한 가운데, 이를 두고 시민단체가 공공의료정책을 축소시킨 것이라고 비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1일 용산입체도시담당관, 도시활력담당관 등 개발 사업 부서를 신설하고, 반면 공공의료추진단과 감염병연구센터는 축소시켰다.

이에 건강돌봄시민행동은 2일 보도자료를 통해 "오세훈 시장이 감염병과 같은 재난으로부터 서울시민을 보호하는데 얼마나 무관심한지 잘 보여줬다"며 "공공의료 강화를 추진하겠다던 오 시장의 모순적 태도"라고 지적했다.

오 시장은 지난 2022년 7월 조직 개편을 추진하면서 "취약계층 4대 정책 추진을 위한 생계, 주거, 교육, 의료 분야 전담부서를 신설한다"고 밝혔고, 그 후속 절차로 서울시 시민건강국 산하에 '공공의료추진단'을 설치했다.

시민행동은 "오 시장은 공공의료추진단이 설치된 지 2년만에 '공공의료과'로 축소시켰다"면서 "2년이라는 시간동안 '오세훈 표 공공의료'는 그 어떤 성과도 내지 못하고, 의지도 확인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이어 "감염병 위협은 현재 진행형인데, 서울시는 감염병연구센터를 폐지하고 그 업무를 감염병관리과로 통합시키는 개편이 타당한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런가 하면, 이들은 저출산과 기후위기 등 시민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기에 시민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는 서울시가 나서서 공공의료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민행동은 "저출산, 초고령, 기후위기 등 우리의 삶은 위협받고, 사회불평등도 커지고 있어 시민들은 각자도생으로 내몰리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 정책은 시민의 생활과 삶을 보호하는데 최우선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정이 시장 개인의 정치적 야망을 위한 도구가 돼서는 안 되고, 인구변화와 기후재난에 대응하는 공공의료 역량을 확충, 강화하는데 소홀해서는 안 된다"고 제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