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연구원 김원호 박사팀, 중재 표적 단백질 ATF3 발굴

국내 연구팀이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환자의 당뇨병 발생을 조기에 예측하고 중재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을 발굴하고, 그 역할을 규명했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김원호 박사 연구팀(연구기획과·대사영양질환과)은 당뇨 전단계 고위험군에 속하는 NAFLD 환자에서 당뇨병을 조기에 예측하고 중재할 수 있는 표적 단백질로 '활성전사인자(ATF3)'을 발굴하고, 이 단백질을 직접 조절함으로써 지방간 및 당뇨병 발생이 억제되고 개선됨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 내분비대사 및 간질환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저널 오브 헤파톨로지(Journal of Hepatology)' 인터넷판 4월 4일자로 게재됐다.


ⓒ질병관리본부

연구팀은 먼저 실험 쥐(ZDF rat)를 통해 인슐린 저항성, 당분해 능력 감소, 지방간 축적과 함께 스트레스 기인 유도 단백질인 ATF3 발현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이어 생체 내에서 ATF3 발현을 직접 억제하기 위해 ATF3 특이 siRNA를 제작해 생체 내 전달시스템(delivery system)에 탑재한 주사를 실험 쥐에 주사했고, 그 결과 지방간, 인슐린저항증, 당분해 능력 감소 등이 크게 억제됨을 관찰했다.

또 연구팀은 한국인 NAFLD 환자 임상코호트 시료 및 정보를 분석한 결과, NAFLD 환자에서 당뇨병 관련 생화학적 지표들이 증가하고, 당뇨병 발생율도 38.4%로 정상인의 12.4%보다 3배가 높은 것으로 확인했다. 

아울러 ATF3 발현이 NAFLD 환자군에서 높게 나타나며, 지방간 발생 초기단계부터 증가했고, 이 ATF3 발현 증가가 당뇨병 발현 주요 생화학지표 증가와 일치함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서양인의 지방간 환자에서 ATF3 발현과 당뇨병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동일하게 ATF3 발현과 지방간 및 당뇨병 발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본부는 "이번 연구는 NAFLD 환자들에서 증가하는 ATF3가 지방축적 초기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간에서 높게 발현되고 있고, 생체 내에서 ATF3 발현을 직접 제어한 결과 지방간 발생 및 당뇨병 발생이 크게 억제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한 것"이라며 "향후 당뇨병 발생 조기 예측 및 진단에서 치료에 이르기까지 임상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과 밝혔다. 

한편 연구팀은 발굴된 ATF3의 활용가능성 및 효과성을 밝히는 추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