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연구결과 공개...예비병상 확보-간호인력 확충 등 '숙제'

보건복지부가 2008년부터 실시하는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이 고위험 신생아 치료인프라 확산 및 미숙아 생존율 증가 등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지원 사업 대상 병원의 센터 개소 전후 시설·장비·인력 변화, 지역 신생아집중치료의 질적 향상 정도 및 미숙아 입원량 변화 등을 평가한 연구용역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앞서 정부는 2008년 동 사업을 시작해, 2015년까지 서울을 제외한 지역의 42개 기관에 총 629억원을 지원했다. 

그 결과 지원 지역에서 380개의 신생아중환자실 병상이 증설된 것으로 파악됐다. 미 지원 대상이었던 서울까지 포함하면 2011년 이후 총 417 병상이 증가해, 출생아 1000명당 3.9병상으로 추산되는 적정량에 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전국 89개 병원에 1716 병상의 신생아중환자실 병상이 운영되고 있다.

▲신생아중환자실 시설·장비 확충 현황(보건복지부)

인공호흡기와 인큐베이터 등 기타 인프라도 상당부분 확충됐다.

지원 사업 시작 이후, 전국의 신생아중환자실의 인공호흡기 수는 387대, 인큐베이터는 270대가 증가했으며, 저체온치료 기계 구비율도 14%에서 48%로 늘었다. 이에 따라 전국 대부분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심장, 복부, 뇌 초음파 시행이 가능하게 됐다.

근무 인력도 늘었다. 정부에 따르면 신생아중환자실 근무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수는 2011년과 비교해 51명, 전문의 수는 32명, 간호사는 321명이 증가했다.

복지부는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 지원 사업과 신생아집중치료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에 필요한 신생아중환자실 병상 수를 상당 부분 확보했고 시설, 장비 부분에서도 많은 개선이 이루어졌다"고 평했다.

▲신생아집중치료센터 지원사업 기간 내 사망률·생존률 변화(보건복지부)

미숙아 생존률이 증가하는 질적인 향상도 목격됐다.

본 사업이 시작되기 전인 2007년과 비교해 신생아사망률은 기존 출생아 1000명당 2.1명에서 2015년 1.5명으로 줄었고, 영아사망률 또한 2007년 출생아 1000명당 3.6명에서 작년 2.7명으로 감소했다.

반대로 미숙아생존률은 1.5kg 미만 2007년 83.2%에서 지난해 87.9%, 1kg미만 2007년 62.7%에서 지난해 72.8%로 향상됐다.

다만 여전히 예비병상이 필요하고 증가하는 병상 속도에 비해 의료인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지적됐다.

복지부는 "신생아 집중치료 필요 병상 수는 적정량에 도달했으나 갑작스러운 원내 출생 고위험 신생아나 타 병원에서 전원을 받기 위한 10%의 예비병상이 필요함으로 고려할 때 여전히 169병상 정도가 더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병원당 근무 전공의 수나, 근무 전문의 수는 감소하지 않았으나 병상 당 간호사 수는 전국 평균 2011년 1.18명에서 2015년 1.04명으로 감소해 충원이 필요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집중치료실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고위험산모-신생아통합치료센터'와 연계체계를 갖춰 종합적인 관리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