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기 재활병동, 재원일수 감소 및 재택복귀율 향상

▲ 소노다 일본 회복기재활병동협회 회장

국내 재활전문의사들이 우리나라도 일본처럼 '회복기 재활병동'을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17일 국회에서 대한재할병원협회가 개최한 재활의료체계 한일 국제심포지엄에서 2000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일본의 회복기 재활병동의 효과가 소개됐다.

발표자로 나선 일본 회복기 재활병동협회 소노다 시게루 회장은 일본에서도 후생성이 주도해 회복기 재활병동을 만든 것은 아니라고 했다. 이 분야에 선견지명이 있는 모 재활의학과의사의 요청으로 정부가 진료개정을 반영했다고 그동안의 과정을 설명했다. 

회복기 재활병동 입원일수는 각 질환에 따라 90일부터 150일까지 구분돼 있다. 

회복기 재활병동 도입 이후 팀의료가 확립된 것은 물론 환자가 무조건 조기에 재활병동에 입원해 재원일수가 감소됐고, 재택 복귀율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소노다 회장은 "현재 일본은 회복기 재활병동을 약 8만병상 운영하고 있다. 병동 단위의 팀의료를 제공하고 있고, 최대 3시간 정도의 훈련을 시행하고 있다"며 "재원 일수는 단축됐고, 진료수가 심사지침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회복기 재활병동은 여러 장점이 있지만 정부와 국민, 급성기병원의 생각은 엇갈린다.

정부는 재활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생각하지만 집중재활은 국민 의료비가 증가한만큼 효과가 있을까하는 염려를 하고 있다고 했다. 효과를 입증해달라는 주장까지 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는 "정부에 비해 국민은 재활치료는 받는 것이다라는 인식이 생겼다"며 "급성기병원 의사들은 재활치료에 대해 신경쓰지 않고 '환자를 가리지말고 받자'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재활의학과 의사들이 부러워 하는 회복기 재활병동도 전망은 그리 밟지 않다. 환자가 증가하고, 의료의 질 향상이 필요한 상황이 진행되고 있어서다. 

그는 "앞으로 집중재활운동을 더 명확하게 해야 한다"며 "회복기재활병동협회는 연구회를 만들어 질향상 뿐 아니라 여러 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결과 평가만이 아닌 병원 기능평가 등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자로 참석한 정형선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위원은 요양병원을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정 위원은 용양병원에 회복기와 유지기 환자가 뒤섞여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려면 요양병원 중 일부를 재활기능에 특화된 병원으로 전환하고 회복기 재활병동 입원료를 신설하거나 가산수가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위원은 "요양병원 중 퇴출해야 할 곳은 없애고, 일부는 유지기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등으로 잔류시켜야 한다"며 "에피소드 단계별 재활서비스가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