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8~9일 개최
비만 환자, 목표 체중 도달했어도 시간 지나면 체중 다시 증가해
김진화 교수 "약제별 다른 치료기간 가질 것으로 예상"

▲조선대병원 김진화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8~9일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The Long and Winding Road: How long does it Maintain the Pharmacotherapy?'을 주제로 발표했다. 
▲조선대병원 김진화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8~9일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The Long and Winding Road: How long does it Maintain the Pharmacotherapy?'을 주제로 발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효과적인 비만치료제가 속속 등장하는 가운데 체중을 줄인 이후 약제를 얼마나 유지해야 하는지에 학계 관심이 모인다.

비만 환자는 생활습관 교정 또는 약제 등으로 목표 체중에 도달했어도 시간이 지나면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이전보다 체중이 더 늘어나는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 역시 중요한 체중 관리 목표다.

현재까지 근거를 종합하면 비만치료제 치료기간은 약제별 그리고 환자 특징에 따라 달라 하나로 제시하긴 어렵고 약제마다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병원 김진화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8~9일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열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비만치료제를 얼마나 오래 유지해야 할지를 주제로 발표했다. 

美FDA 허가받은 장기간 사용 가능 비만약 6가지
비만약 임상연구, 장기간 치료할수록 체중 재증가 양상 보여

현재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받은 장기간 사용 가능한 비만치료제는 △제니칼(성분명 오르리스타트) △콘트라브(날트렉손/부프로피온) △큐시미아(펜터민/토피라메이트) △삭센다(리라글루타이드)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젭바운드(티르제파타이드) 등 6가지다.

이들 약제는 임상연구에서 5%에서 20%까지의 체중 감량 효과를 입증했다. 그러나 비만 환자에게 약제를 얼마나 오래 투약해야 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임상연구에서 치료기간은 비만치료제마다 다르고 장기간 투약 시 체중 조절 효과도 차이를 보인다. 

가장 장기간 연구가 시행된 비만치료제는 제니칼이다. XENDOS 연구에서 4년까지 치료가 이뤄졌다. 결과에 따르면, 1년째 체중은 제니칼군이 10.6kg 줄어 위약군 6.2kg 감소보다 큰 조절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4년째까지 감량된 체중은 유지되지 않았고 치료 초기 줄었던 체중의 절반가량이 다시 늘었다(Diabetes Care 2004;27(1):155~161). 

콘트라브는 2년 동안 시행된 SEQUEL 연구에서 치료 44주까지 체중이 크게 줄고 2년까지 유지되는 듯했지만 체중 변화 그래프에서 재증가 양상을 보였다. 또 콘트라브를 투약한 환자의 75% 이상은 2년 동안 5% 이상 체중 감소를 유지했다. 약제 관련 장기간 이상반응 위험은 더 증가하지 않았다(Am J Clin Nutr 2012;95(2):297~308).

큐시미아는 26주째 체중이 일반적인 관리와 비교해 8.52%p 유의하게 줄었지만 78주 치료기간에는 체중이 다시 올라가는 그래프가 나타났다(Obesity (Silver Spring) 2017;25(2):338~345).

위고비는 STEP-5 연구에서 104주 동안 치료 결과, 60주까지 체중이 크게 감소했고 감량된 체중이 유지돼 104주에는 위약 대비 12.6%p 유의하게 줄었다. 104주째 5% 이상 체중 감소 도달률은 위고비군 77.1%, 위약군 34.4%였다. 위고비군에서 심각한 수준의 이상반응은 없었다(Nature Medicine 2022;28:2083~2091). 

아울러 위고비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약 4년간 추적관찰한 SELECT 연구에서는 26주까지 체중이 크게 줄고 52주에 감량된 체중을 4년 동안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허리둘레도 52주까지 줄고 4년까지 유지됐다(N Engl J Med 2023;389(24):2221~2232).

젭바운드는 72주 동안 진행된 임상연구에서 체중이 용량에 따라 15~21%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N Engl J Med 2022;387(3):205~216). 

비만약 최대 5.5년 투약 결과, 59.8% 체중 재증가

▲조선대병원 김진화 교수.
▲조선대병원 김진화 교수.

지난해에는 실제 임상에서 최대 5.5년까지 비만치료제를 사용했을 때 체중 변화를 분석한 연구가 보고됐다(J Clin Endocrinol Metab 2023;108(9):e832~e841).

연구에서는 과체중 또는 비만 환자 428명을 대상으로 FDA 허가를 받거나 오프라벨로 사용한 비만치료제의 효과를 평균 4.4년 동안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추적관찰 동안 평균 체중은 10.4% 감소했다.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체중 감소 도달률은 각 70.8%, 48.1%, 29.9%, 17.1%였다.

주목할 결과는 장기간 비만치료제 투약 시 59.8%가 다시 체중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비만치료제로 초기에 체중이 줄었을지라도 장기간 유지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다. 

가장 많이 사용한 장기간 약제는 메트포르민, 토피라메이트, 펜터민, 부프로피온, 삭센다 등 GLP-1 수용체 작용제였다. 환자들은 마지막 추적관찰 당시 평균 2개의 비만치료제를 투약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추적관찰 동안 병원을 자주 방문할수록 체중 10% 이상 감량 유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약제에 따라서는 메트포르민, 토피라메이트, 부프로피온 투약 시 체중 10% 이상 감량 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컸다. 또 등록 당시 체질량지수(BMI)가 높았던 환자군일수록 장기간 체중 감량 효과가 유지됐다. 

"비만약 지속하려면 동반질환·안전성 등 고려해야"

지금까지 근거를 종합하면, 비만치료제를 얼마나 유지해야 할지에 대한 치료기간을 단순화하긴 어렵다. 비만치료제 효과와 위험 그리고 환자별 특징을 고려해 치료를 진행해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김 교수는 "현재까지 비만치료제를 어느 정도 기간으로 유지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 다만, 비만치료제마다 다른 치료기간을 가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비만치료제를 선택하고 지속하려면 환자의 동반질환, 안전성 등을 항상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체중을 줄이고 효과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지만 언젠가는 유지까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임상에서는 약제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 등 다학제적 관점에서 장기간 체중 조절에 접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