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GWTG-Heart Failure인 대한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 3월 출범
심부전 가이드라인 준수해 환자에게 이득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목표

▲대한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가 3월 출범하는 가운데, 위원장인 고대 구로병원 김응주 교수, 위원인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손정우 교수,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용 교수와 진료적정위원회 목표 및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좌부터) 손정우 교수, 김응주 교수, 이수용 교수.
▲대한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가 3월 출범하는 가운데, 위원장인 고대 구로병원 김응주 교수, 위원인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손정우 교수,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용 교수와 진료적정위원회 목표 및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좌부터) 손정우 교수, 김응주 교수, 이수용 교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미국심장협회(AHA) 주관 'Get With The Guideline(GWTG)'는 진료현장에서 가이드라인을 준수해 환자 예후를 개선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2005년 시작된 심부전에 초점을 둔 'GWTG-심부전(GWTG-Heart Failure, GWTG-HF)'은 심부전 가이드라인으로 진료현장을 변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의료진의 심부전 인식을 높이면서 예방 및 치료를 발전시키고자 관련 자원과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GWTG-HF의 핵심 원칙은 모든 의료기관이 일관된 가이드라인을 활용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심부전 치료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해 진료 및 치료 과정과 시스템을 개선하고자 한다. 아울러 의료진과 환자에게 지속적인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촉진하며, 성과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줘 진료현장이 개선되도록 한다.

미국에서 GWTG-HF가 시작된지 약 20년 동안 참여 의료기관이 늘었고 100만여 명의 환자 데이터가 쌓였다고 보고된다. 이를 통해 GWTG-HF의 평가 항목에 따른 시기별 심부전 환자 예후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됐다. 또 GWTG-HF 레지스트리가 구축돼 이를 활용한 연구 결과가 매년 발표되고 있다.

GWTG-HF가 성과를 거두면서 대한심부전학회가 이를 국내에 도입, 한국형 GWTG-HF인 '진료적정위원회'를 3월 출범한다.

본지는 진료적정위원회 출범에 앞서 위원장인 고대 구로병원 김응주 교수(순환기내과), 위원인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손정우 교수(심장내과),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용 교수(순환기내과)와 진료적정위원회 목표 및 향후 계획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1> 출발선에 선 대한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 목표는?

<2> 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 의료기관 비교보단 '참여'에 방점

Q. 대한심부전학회 진료적정위원회가 출범하게 된 배경은?

김응주 교수(이하 김): 대한심장학회 산하 연구회에서 대한심부전학회로 출범하던 2018년 당시 미션 중 하나가 학회를 발전시키고 홍보하는 것이었다. 구체적 계획 을 논의하며 여러 국가의 현황을 알게 됐다. 그 과정에서 접한 것이 AHA의 GWTG-HF로, 이를 우리나라에 도입해 보자고 생각했다.

마침 올해 3월부터 대한심부전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하는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유병수 교수(심장내과)가 여기에 관심이 많았다. 지난해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해 올해 3월 한국형 GWTG-HF인 진료적정위원회를 출범하게 됐다.

Q. 진료적정위원회 목표와 활동 계획은?

▲고대 구로병원 김응주 교수.
▲고대 구로병원 김응주 교수.

김: 의료진이 심부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진료적정화를 이뤄 심부전 환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국내 심부전 환자 예후 개선에 일조하는 것이 진료적정위원회 목표다. 또 GWTG-HF 레지스트리처럼 진료적적정위원회 활동을 통해 한국형 레지스트리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수용 교수(이하 이): 진료적정위원회 활동에 대한심부전학회가 진행하는 전국 단위 등록사업인 '급성 심부전 등록사업(KorAHF)'이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KorAHF를 바탕으로 기관별 분석을 진행하고 이를 진료적정위원회 활동의 기준(baseline)으로 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진료적정위원회가 출범한 이후 가이드라인 기반 치료를 진행했을 때 의료기관에서 달라진 점을 KorAHF와 비교할 수 있다.

김: 진료적정위원회 콘셉트로 잡기에 좋은 생각이다. 이를 위해서는 KorAHF 증례기록서(Case Report Form, CRF)부터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 또 KorAHF에서 모은 CRF를 분석한 것에서 더 나아가 진료적정위원회가 실제 평가항목에 따라 의료기관에 피드백을 주고 데이터화하려면 추가로 어떤 일을 해야 할지 앞으로 논의해야 한다.

손정우 교수(이하 손): 다만 KorAHF를 활용할 경우, 의료진이 가이드라인 기반 치료를 하려고 했지만 환자 특성상 진행하지 못했을 때 그 이유가 조사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환자 특성으로 인해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심부전 치료제를 쓰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그 이유를 체크하고 기록에 남기면 의료진은 가이드라인에 따라 치료를 수행한 것이기 때문이다.

Q. 진료현장에서도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어떻게 적정성을 모니터링할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다. 진료적정위원회 계획은?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손정우 교수.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손정우 교수.

손: 본 학회가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는 치료제 사용이 어려운 경우 그 이유를 자세히 작성하지 않고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는 '전문가용 심부전 퇴원 전 체크리스트'를 제작해 공유하고 있다. 의료진은 의료기관 전산팀과 이야기해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에 체크리스트를 탑재할 수 있다.

김: 학회가 좋은 자료를 제작해도 학술대회에 자주 참석하는 의료진이 아니라면 이를 알지 못할 수 있다. 의료진에게 체크리스트 등 자료를 어떻게 홍보할지와 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

이와 함께 진료현장에서 체크리스트 등 자료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진료적정위원회가 시기적절하게 업데이트하는 것도 신경 써야 한다. GWTG-HF에서 강조하는 것이 시기적절한 업데이트다. 심부전 퇴원 전 체크리스트에는 지난해 보험급여를 적용받은 베르쿠보가 포함되지 않았다.

또 SGLT-2 억제제는 올해 2월부터 심부전까지 급여 확대됐지만, 체크리스트에는 심부전 치료제로 쓰지 않는 이유로 '보험 이슈(insurance issue)'가 명시돼 있다.

진료적정위원회는 이 같은 체크리스트 수정사항을 논의하면서 시기적절하게 업데이트해 참여기관에 알리는 역할을 해야 한다.

Q. 진료적정위원회가 잘 운영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점은?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용 교수.
▲양산부산대병원 이수용 교수.

손: 의료기관별 현황만 비교하면 오해의 소지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A 의료기관이 B 의료기관보다 심부전 치료제를 적게 쓴 경우, 현황만 보면 A 의료기관이 가이드라인 기반 치료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A의료기관에서 환자 특성 때문에 치료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이곳은 가이드라인 기반 치료를 잘하고 있는 것이다. 즉, 단순히 심부전 치료제를 썼는지와 안 썼는지를 비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김: 진료적정위원회는 취합된 의료기관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우열을 따지고 비교하고자 출범한 것이 아니다.

위원회가 심부전 환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도록 의료기관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을 준다면, 의료진의 진료패턴과 처방이 달라질 수 있다.

실제로 고대구로병원은 심부전 퇴원 전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고 심부전 치료제를 사용한 경우와 그러지 못한 경우 이유를 확인하는 회의를 매주 열었다. 이후 베타차단제 처방률은 70%로 조사됐고 사용하지 못한 타당한 이유까지 모두 확인하면 가이드라인에 따른 치료를 수행한 비율이 97%까지 올랐다.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통해 심부전 환자를 보는 의료진의 진료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 이와 함께 KorAHF 등 등록사업을 지속하려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등록사업을 진료적정위원회 활동에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

김: KorAHF 1~3 이후 등록사업을 계속 진행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하다. 진료적정위원회가 출범하면 심부전 환자 치료 현황 및 예후 등 추세를 위원회에서 계속 확인한다. 학회 또는 전국 단위의 등록사업을 수행할 이유가 없어지는 것이다. 다만, 진료적정위원회로 모인 데이터를 분석해 주기별 보고서를 발표하려면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게 데이터 분석 외주를 맡길지 혹은 학회에 인력을 두고 투자할지 판단해야 한다. AHA는 내부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전담 간호사가 있다고 알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