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의대 김유선 교수팀, 연구 결과 발표
종양 대식세포에서 NAMPT 발현과 상관성 규명

왼쪽부터 김유선 교수, 홍선미 연구교수, 이아연 학생.
왼쪽부터 김유선 교수, 홍선미 연구교수, 이아연 학생.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염증성 대장암의 진단과 치료 예후를 분석에 세포 에너지 대사조절(NAMPT) 유전자의 활성 조절을 이용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의대 생화학교실 김유선 교수팀(홍선미 연구교수, 이아연 대학원생)의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최근국제 학술지 Advanced 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22일 밝혔다. 

연구의 제목은 ‘NAMPT-Driven M2 Polarization of Tumor-Associated Macrophages Leads to an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in Colorectal Cancer(NAMPT-매개 종양 대식세포 (M2 타입) 분극화에 의한 면역 억제성 미세환경 유도에 의한 대장암)’이다. 

염증성 대장암은 만성 염증으로 생긴 대장암이다. 일반적인 대장암에 비해 생존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다. 

염증성 대장암은 반복적인 염증으로 인한 장 조직 손상과 이를 회복하기 위한 리모델링 과정에서 암 주변 미세환경이 대장암 진행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연구팀은 NAMPT 유전자의 활성이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암의 진행과정을 촉진하는 '종양 대식세포(M2 타입 종양 대식세포)'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해 면역 억제성 미세환경을 유도해 대장암을 악화시키는 기전을 밝혀냈다.

특히 종양 대식세포에서 NAMPT 발현과 상관성을 갖는 유전자의 발현 정도가 대장암 환자의 생존이나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NAMPT는 세포 안에서 살아있는 모든 세포에서 에너지 생성, 산화 환원반응 조절, 신호 전달 등에 모두 관여하는 대사물질인 NAD의 양을 유지하는 핵심 효소다.

NAMPT의 기능 이상은 당뇨, 암, 관절염, 노화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 있다고 보고된다. 

이에 연구팀은 NAMPT를 표적하는 항암면역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NAMPT 활성 조절 경로를 통해 대장암의 진행과 예후 예측, 그리고 복잡한 암 미세환성을 표적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면역 치료법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