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ASLD 2023] 엘라피브라노, ALP 수치 등 생화학적 지표 개선
생화학적 반응, 엘라피브라노 투여군 51% vs 위약군 4% 향상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입센과 젠핏의 '엘라피브라노'가 희귀 간질환인 원발성 담즙성 담관염(PBC) 2차 치료옵션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임상3상에서 엘라피브라노가 생화학적 반응 지표를 51% 향상시키는 청신호를 보인 것이다.

PBC는 중년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자가면역 간질환으로, 비화농성 담관염에 의해 소담관이 소실되는 질환이다. 질병이 진행하면 담즙 정체와 간섬유와,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위험한 질환이다. 

현재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이 1차 치료제로 사용되지만, 이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가 많아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있는 상황이다. 

지난 10~14일 개최된 미국간학회 연례학술대회(AASLD 2023)에서 엘라피브라노가 PBC 환자의 담즙 정체 증상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엘라피브라노는 PPAR-α/δ 이중 항진제로 인슐린저항성, 혈당 항상성 및 지질 대사를 개선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는 약물이다.

지난 10~14일 개최된 미국간학회 연례학술대회(AASLD 2023)에서 엘라피브라노가 PBC 환자의 담즙 정체 증상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10~14일 개최된 미국간학회 연례학술대회(AASLD 2023)에서 엘라피브라노가 PBC 환자의 담즙 정체 증상을 개선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ELATIVE 연구로 명명된 이 연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스의대 Christopher Bowlus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무작위, 다국적, 대조군 임상3상이다. 

연구팀은 UDCA에 반응이 불충분하거나 내약성이 없는 PBC 환자 161명을 대상으로 1일 1회 엘라피브라노 투여군(n=108, 80mg)과 위약군(n=53)으로 2:1로 무작위 배정했다. 

UDCA에 반응이 불충분한 환자는 UDCA를 함께 복용했으며, UDCA 내약성이 없는 환자는 엘라피브라노 또는 위약만 복용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 대부분이 여성(96%)과 백인(91%)이었고, 평균 연령은 57세였다. 또 PBC를 진단받은 시기는 8년 전이었고, 중등도~중증 가려움이 있는 상태였고, 알칼리성 포스파타제(ALP) 수치는 321.9±150.9 U/L인 상태였다. 

1차 목표점은 52주차 생화학적 반응(ALP 정상 범위 상한치의 1.67배 미만, 기저치 대비 15% 이상 감소, 총 빌리루빈 수치 정상으로 정의) 여부였다. 

2차 목표점은 52주차에 ALP 수치가 정상화되고, 최악의 가려움증 수치 평가 척도(WI-NRS; 0점[가려움증 없음]에서 10점[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가려움증]까지)로 측정한 베이스라인부터 52주차 및 24주차까지의 소양증 강도의 변화였다.

엘라피브라노 투여군, 담즙 정체 개선에 효과 

연구 결과, 엘라피브라노는 담즙 정체와 관련된 생화학적 지표를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생화학적 반응은 엘라피브라노 투여군은 51%, 위약군 4% 개선됐다(95% CI, 32~57; P<0.001). 

52주차 ALP 수치는 엘라피브라노 투여군 중 15%에서 정상화됐고, 위약군은 정상화되는 사람은 없었다.

중등도~중증 소양증이 있는 환자(엘라피브라노 투여군 44명, 위약 투여군 22명) 중 WI-NRS의 베이스라인부터 52주차까지의 최소제곱 평균 변화는 두 그룹 간 큰 차이가 없었다(-1.93 vs -1.15). 

안전성과 관련한 치료이상 반응은 두 군이 비슷했다(엘라피브라노 투여군 39%, 위약군). 또 엘라피브라노 투여군에서 더 자주 보고된 부작용은 복통(11% vs 6%), 설사(11% vs 9%), 메스꺼움(11% vs 6%), 구토(11% vs 2%) 등이었다.  

근육이나 심장 근육에서 생기는 효소인 CPK(Creatine Phosphokinase) 수치 상승은 엘라피브라노 투여군에서 더 흔하게 발생했고, 이로 인해 4명의 환자가 투여를 중단했다. 

연구팀은 무사건 생존율(event-free survival)을 1차 목표점으로 하는 오픈 라벨 연장연구와 확증 임상3상(confirmatory trials)을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