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관리 접근성·비용 효율성 높이는 이점 있어
당뇨병 교육 받기 어려운 환자, 챗GPT로 정보 얻을 수 있어
치료 권고할 수 없어 건강 관리 위한 '보조수단'으로만 활용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전 세계적으로 챗GPT(Chat GPT) 열풍이 뜨겁다. 미국 오픈AI(Open 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는 지난해 11월 GPT-3.5 버전이 출시된 이후 화제의 중심에 섰다.

챗GPT는 사용자가 대화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그에 맞게 답변을 줘 사용자와 AI 간 대화가 가능하다. 특히 번역, 논문 작성, 코딩 작업 등 여러 분야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 똑똑한 비서 역할을 하고 있다.

의료 분야에서도 챗GPT를 주목하고 있다. 질환 진단 및 치료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상연구 진행 및 논문 작성에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챗GPT 답변의 신뢰도와 윤리적·사회적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챗GPT 열풍은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본지는 창간 22주년을 맞아 의료 분야에서 챗GPT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봤다.

<1> ChatGPT, 미래 의료 이끄는 도구 될까?

<2> 의사면허시험 통과한 챗GPT, 진단에 도움 줄까?

<3> "당신의 건강 관리를 도울 '챗GPT'입니다"

<4> 챗GPT, 의학논문 작성도 척척…그럼에도 한계는?

진료실 밖에서 사용자와 대화 통해 건강 지원 가능

챗GPT 특징은 사람과 유사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챗GPT는 진료실 밖에서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건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 같은 특징은 정신건강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지난 5월 'ChatGPT 치료사를 만날 결심?!' 보고서를 발표하며 챗GPT가 앞으로 정신건강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표적 모바일 정신건강 애플리케이션인 'Koko'는 2015년부터 업무 문제 관련 문자 메시지를 보내면 몇 분 안에 감성적인 문자로 긍정적 대처전략을 제안하며 정신건강 측면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 10월부터는 챗GPT(GPT-3)에 의해 자연스러운 텍스트 작성이 가능해져 사용자는 선택을 통해 'KokoBot'에서 보다 완벽한 응답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현재 개발 중인 치료용 챗봇도 심리치료의 한 방법인 인지행동치료(CBT)에 집중하고 있다.

전통적 정신건강 관리에서 챗GPT 등 챗봇을 활용한 관리로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접근성과 비용 효율성 등에서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10만명 당 약 4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의사가 있지만, 이 수치는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낮다고 보고된다. 하지만 챗봇은 의료진을 만날 시간과 비용이 부족한 사람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조언을 줄 수 있다.

특히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진료실 방문을 막는 진입장벽으로 평가되는 가운데 챗GPT 등 챗봇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챗봇은 과거 대화를 기억하고 있어 사용자의 고유한 상황에 따른 조언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챗GPT 등 챗봇에 대한 우려와 한계도 있다. 치료에 활용하기에는 아직 초기단계라 의도치 않게 유해하거나 부적절한 조언을 할 위험이 있어, 위기 상황에 놓였거나 약물치료가 필요한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다.

또 사용자가 정확하고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하는 전문적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챗봇에 지나치게 의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아울러 개인정보 보호 등 윤리적 문제도 해결해야 할 숙제다. 개인정보 보호는 모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지만, 챗봇과의 대화는 대면진료에서의 대화만큼 기밀이 아니기에 유출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AI를 교육하려면 더 많은 민감한 데이터 세트가 필요해 개인정보가 보호되지 않을 위험이 있다.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Firefox)를 개발한 모질라(Mozilla) 재단에서 분석한 정신건강 앱 약 70%는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부실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국 챗GPT 등 챗봇은 정신건강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커지고 있지만, 전문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많은 연구와 문제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신건강 분야에 더해 장기적 관리와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한 당뇨병 관리에도 챗GPT가 보조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챗GPT는 의료진이 제공하는 치료를 보완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전략을 제시해 치료 계획에 대한 순응도를 높이면서 사용 편의성 및 높은 접근성을 통해 환자 예후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물리적 이유로 당뇨병 교육을 받기 어려운 환자는 챗GPT를 이용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서지역에 거주하거나 인증된 당뇨병 교육자를 만나기 어려운 경우 등 의료기관 방문이 쉽지 않은 당뇨병 환자들이 챗GPT로 관리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또 당뇨병을 처음 진단받아 궁금한 점이 많은 환자도 챗GPT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 챗GPT는 혈당 수치 및 약물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당뇨병 환자에게 치료를 권고할 수 없으므로, 진단과 마찬가지로 환자 치료 및 관리를 위한 보조수단으로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