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2040년 지구 평균 온도 1.5℃ 이상 상승 예상
WHO·의학계,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위기 심각성 경고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전례 없는 기후변화가 인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뜨거워진 지구가 직·간접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며, 기후위기는 전 세계가 힘을 모아 대응해야 할 21세기 최대 과제로 꼽힌다.

기후변화란 지구 규모 또는 지역적 기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10년에서부터 수백만 년 동안 대기의 평균 상태 변화를 뜻한다.

현재 지구 평균 온도는 기후위기를 막을 수 있는 마지노선인, 파리기후협정에서 온도 상승 제한 목표로 합의한 '1.5℃'에 임박했다. 

세계기상기구(WMO) '2022년 전 지구 기후 현황'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평균 온도는 산업화 이전 대비 1.15℃ 높았고 2023~2027년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 이상 높아질 가능성이 66%로 추정된다. 

기후변화 정부 간 협의체(IPCC) '6차 기후변화 종합보고서'에서는 2021~2040년 지구 평균 온도가 1.5℃ 이상 상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후변화 시계가 빨라지면서 전문가들은 이에 따른 건강위기를 경고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5월 주최한 회의에서 '기후위기는 건강위기'라고 경고하며 기후변화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촉구하고 나섰다. 

WHO의 Tedros Adhanom Ghebreyesus 사무총장은 "긴급한 기후행동(climate action)이 필요한 이유는 미래가 아닌 현재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며 "기후위기는 비전염성질환 발생률을 높이고 보건의료 인력과 인프라를 크게 위협할 수 있는 건강위기"라고 피력했다.

의학계도 2021년 대규모 공동 성명문을 발표하며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위기의 심각성을 알렸다. NEJM, The Lancet, BMJ 등 전 세계 200여개 보건의학 학술지는 "지구 온도 상승과 생물 다양성 파괴는 인류 건강에 치명적 위해가 될 수 있다. 기후변화가 다양한 방식으로 건강과 의료서비스를 위협하고 있다"며 "의사이자 공공의료 전문가들은 새로운 의료 요구를 예측하고 기후위기 원인을 제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본지는 창간 22주년을 맞아 기후변화가 인류 건강에 미치는 위험을 살펴보고 의료계는 이 같은 위기 상황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점검했다.

<1> 빨라지는 기후변화 건강위기는 이미 시작됐다

<2>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3> 기후변화 관심 필요 이유 "의사는 환자에게 해를 입히면 안돼"

기후변화, 직·간접적으로 인류 건강 위협 

기후변화는 폭염, 홍수, 가뭄 등 기상재해를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대기오염, 알레르겐, 수인성 감염병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인류 건강을 위협한다.

대표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폭염은 건강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친다. 폭염에 따른 체온 상승은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박수 및 호흡수를 증가시키며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을 유발하고 응고 변화를 일으킨다. 이로 인해 혹서기에 심뇌혈관질환, 호흡기질환 등에 의한 사망률이 높고, 특히 질환자나 영유아, 노인들이 취약하다고 보고된다. 

프랑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5~2019년 폭염으로 인한 외래 및 응급실 방문이 증가했다. 이로 인한 경제적 영향을 평가한 결과, 사망에 대한 비용은 232억유로(약 32조원), 활동제한일수는 23억유로(약 3조 2000억원), 질병이환은 310만유로(약 44억원)에 달했다(Eur J Health Econ 2022;23(1):119~131).

또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강수현상이 잦아지면 홍수가 발생해 직접적으로 건강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홍수는 신체에 직접적 상해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영양실조 인구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위장관질환에 더해 과도한 곰팡이 증식에 따른 호흡기계 증상을 유발한다. 게다가 홍수를 경험한 사람들은 시간이 오래 지나도 우울과 불안을 느끼는 정신건강 문제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가뭄은 식량 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고 사람들이 공동으로 물을 사용하게 되면서 공중위생을 위협할 수 있다. 

간접적으로 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 요인은 대기오염이다. 기온, 강수량 등 기상학적 요인은 대기 중 화학반응이나 오염물질 이동, 도시나 지역에서 오염물질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비율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기오염에 따른 건강 문제는 대기와 일차적으로 접촉하는 호흡기계에서 나타나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질환 환자는 건강 악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있다. 

기온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대기오염 물질은 오존이다. 자극성 기체인 오존은 이산화질소 등 일차오염물질이 자외선과 반응해 생성되는 이차오염물질로, 기온에 비례해 발생량이 증가하며 다양한 호흡기질환을 유발한다.

호흡기질환뿐 아니라 대기오염 물질이 혈액순환으로 유입되면 전신염증반응, 죽상경화 진행, 심장자율기능 이상 등을 초래해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는 모기 등 병원체를 옮기는 대표적 벡터(vector)에 의해 매개되는 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등 감염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2020년 WHO는 벡터매개 질환(vector-borne diseases)에 의한 전 세계 사망률을 연간 70만명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기온이 따뜻해지면 나무의 개화 시기와 풀(초본)의 꽃가루 날림 시기가 앞당겨진다. 이로 인해 꽃가루 노출이 늘면서 알레르기질환이 증가한다. 

물이나 음식으로 전파되는 감염병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이 같은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위기 정도는 모든 인구집단에서 동일하지 않고, 지역의 환경 조건과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