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용 혈액 추적∙수혈 후 이상반응 모니터링 등에 성과
효율적 혈액 사용위한 병원 집행부∙유관부서 간의 협력 반드시 필요

대한수혈학회와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21일 수혈관리실 실무 워크샵을 개최하고 수혈관리실 설치 의료기관 간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했다.
대한수혈학회와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21일 수혈관리실 실무 워크샵을 개최하고 수혈관리실 설치 의료기관 간의 경험과 성과를 공유했다.

[메디칼업저버 손형민 기자] 혈액관리법 개정에 따라 병원마다 설치 된 수혈관리실의 운영은 잘 이뤄지고 있을까?

21일 대한수혈학회와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은 수혈관리실 실무 워크샵을 개최, 수혈관리실 설치 의료기관 간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참석자들은 수혈관리실 운영으로 얻었던 성과와 부족한 점에 대해 공유하며, 수혈관리실이 잘 운영되려면 수혈관리위원회 지원은 필수적이라며 병원 집행부뿐만 아니라 유관부서 지원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효율적 혈액사용 목표위한 수혈관리실…공동의 목표로 가져가야

수혈관리실은 지난해 6월 보건복지부 혈액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라 병상 수가 1000단위 이상이면서 전년도 혈액공급량이 2만 단위 이상인 의료기관에 수혈관리실이 설치됐으며, 설치 대상은 단계적으로 확대됐다.

정부의 혈액 관리에 대한 의지가 수혈가이드라인 및 수혈관리실이라는 제도를 탄생시켰다. 과거에는 혈액은행, 의료 질 향상관리실(QI) 등을 통해 수혈안전감시보고 업무와 수혈 적정성 평가를 준비했지만 이를 하나로 통합해 효율성을 높였다.

또 수혈용 혈액 관리도 혈액재고량 모니터링 및 국립장기조직혈관리원에 대한 정기보고를 통해 무분별한 혈액 요청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됐다는 분석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수혈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수혈전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전자의무기록(EMR)을 활용한 이상반응 사례 수집 및 보고에 힘써 수혈정책 확립에 앞장섰다.

특히 수혈관리실을 설치를 통해 수혈 오류 발생 시, 사고 조사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수혈 오류의 중요 원인 중 하나인 체혈 오류의 지속적 모니터링이 이뤄질 수 있다.

이 날 워크숍에 참여한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김준년 혈액안전감시과장은 “수혈 가이드라인의 설치가 규제로서 시작된 게 아니고 의료기관에서 수혈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 해보고 싶은 노력,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었던 부분을 제도적으로 근거를 마련해 주는 게 첫 번째 의미가 있었다”고 말했다.

국가에서 수혈관리실에 대해 인센티브를 주지 않아 병원 내의 적극적인 지원을 못받고 동기부여가 부족하다는 지적에는 수혈관리실의 안정적인 정착 이후에 고려될 것임을 밝혔다.

김 과장은 “수혈관리실 설치에 따른 정부의 인센티브 등은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정책이 좀 더 안정화 된다면 고려될 사항이다. 다만, 정부의 기준에 맞지 않으면 행정규제들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정부 정책에 발맞춰 주요 병원은 수혈관리실을 통해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혈액은행 업무나 수혈 적정성 평가 업무 등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부분, 수혈 후 이상반응 모니터링 등에서도 하나의 팀대응으로 인해 실질적인 성과를 보였다. 의사와 간호사의 업무 기회도 증가했다는 평이다.

다만, 제도적으로 수혈관리위원회 위원장이 병원장으로 임명되게 바뀌면서 수혈관리실 운영은 병원 집행부의 의지에 따라 성패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까지 효율적 혈액사용의 목표가 의학적 필요에서 시작됐기보다 법적 강제성이 우선되고 있어 업무 당위성은 높지만 자발성은 낮은 상황이다.

전북대병원 조용곤 수혈관리실장

전북대병원 조용곤 수혈관리실장(진단검사의학과)은 “수혈관리실이 진단검사의학과 파트로 들어가는 것 보다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따로 설치되기를 바랐다. 감염관리실과 같은 조직배치와 권한 부여 등을 기대했으나 실제로는 타 병원보다 먼저 적극적인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이었다”며 “병원 집행부의 의지가 필요하다. 직제 규정을 바꿔 수혈관리실 조직도에 표시되는 형식으로 만들려면 보직수당을 줘야하고 복잡하고 부담을 받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 홍윤지 수혈관리실장(진단검사의학과) 역시 “병원장이 맡고 있는 수혈관리위원회의 지원은 필수적이다. 특히 인력재배치 등을 통해 전산화 작업, 유관부서의 지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수혈관리실에 대한 비용 보전이 없이는 병원 집행부를 설득하기 힘들고, 업무의 객관적 목표가 불분명하다는 점은 효율적 혈액사용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는 지적이다. 

수혈 적정성 평가 시 진료현장의 목소리도 잘 반영돼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적정성 평가 시 획일화 된 기준보다는 현장의 필요성을 잘 고려해서 진행해야 한다는 것. 수혈가이드라인으로 인해 임상현장에서 수혈이 꼭 필요한 상황이지만 적정한 시간 내에 혈액 공급이 안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세브란스병원 김진하 수혈관리실장은(진단검사의학과) “적정성평가를 전문의 1명이 하는 건 옳지않다. 누가봐도 수혈이 부적절하다라는 사례를 정하는 것이 1차적 목표”라며 “수혈관리실이 힘을 얻으려면 적정성평가가 빨리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수혈학회 엄태현 이사장은(일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수혈관리위원회가 정부기관이라면, 수혈관리실은 실무진이라고 볼 수 있다”며 “법적 근거를 갖고 전담인력을 가진 것은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우리나라가 수혈관리에 있어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