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D-1 환형 펩타이드 임상1상 결과 LANCET 게재
nab-파클리탁셀·젬시타빈과 병용요법, 전이성 췌장암 안전성 입증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치료제가 부족한 전이성 췌장암의 신규 옵션이 등장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호주 St. John of God Subiaco병원 Andrew Dean 박사 연구팀은 최근 LANCET Gastroenterology & Hepatology에 환형 펩타이드 CEND-1의 임상1상 결과를 공개했다.

결과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전이성 췌장암 환자 59%는 CEND-1과 nab-파클리탁셀, 젬시타빈 병용요법에 반응을 보였다.

 

CEND-1, 안전성 프로파일 및 활성 촉진

그동안 전이성 췌장암 치료제 개발은 실망의 연속이었다. 지난 30년 동안 전이성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5%에서 11%로 개선됐지만, 이는 다른 암종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면역요법은 대부분 효과가 없었고, 표적치료제는 소수 환자에게만 이점이 있었다. 게다가 항암화학요법은 다른 암종보다 효과가 적었다.

이에 연구팀은 임상1상을 통해 전이성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CEND-1+nab-파클리탁셀+젬시타빈 병용요법의 안전성과 내약성,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했다.

CEND-1은 αV인테그린과 뉴로필린-을 표적해 병용투여되는 항암제의 종양 전달력을 높이는 환형 펩타이드다.

CEND-1은 종양 혈관에서는 선택적으로 발현되지만, 건강한 조직 혈관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αV인테그린에 대한 친화력을 높인 약물이다.

αV인테그린에 CEND-1이 결합되면 종양에서 발현되는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돼 펩타이드 단편을 방출한다. 이는 뉴로필린-1 수용체에 결합해 새로운 흡수 경로를 활성화해 항암제가 고형 종양에 보다 선택적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돕는 기전이다.

이 같은 기전을 바탕으로 지난해 6월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전이성 췌장암 1차 치료제 패스트트랙에 지정되기도 했다.

연구팀은 2018년 8월 13일부터 2019년 11월 30일까지 호주의 3개 의료기관에서 18세 이상 성인 전이성 췌관 선암종 환자 31명을 모집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MRI 또는 CT를 통해 측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병변을 갖고 있었고, 일상생활수행능력(ECOG)은 0 또는 1이었다. 이들의 기대수명은 최대 3개월에 불과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대상으로 CEND-1를 단독으로 정맥투여 한 후 젬시타빈, nab-파클리탁셀을 병용 투여했다.

1차 목표점은 이상반응 발생률, 치료 관련 이상반응 발생기간,. 평가 시 전체생존(OS)으로 설정했다.

연구 결과, 용량을 제한해 CEND-1을 투여한 경우 약물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흔한 3등급 또는 4등급 이상반응은 호중구감소증 17명, 빈혈 8명, 백혈구감소증 5명, 폐색전증 4명 등이 발생했다.

심각한 부작용은 22명에게서 나타났는데, 대부분 질병 진행과 관련 있었다. 연구 기간 동안 10명의 환자는 전이성 췌장암, 뇌동맥 뇌졸중이 진행돼 사망했다.

특히 효능 평가 집단(29명)에서 17명(59%)은 객관적반응(ORR)을 보였다. 이들 중 16명은 부분반응(PR)을, 1명은 완전반응(CR)을 나타냈다. 아울러 26개월(중앙값) 추적관찰 결과, OS 중앙값은 13.2개월로 조사됐다(95% CI 9.7~22.5).

연구팀은 "nab-파클리탁셀, 젬시타빈과 병용한 CEND-1은 용량 제한 독성이 없었고 활성을 촉진했다. 또 허용 가능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고 있었다"며 "이상반응은 일반적으로 nab-파클리탁셀+젬시타빈 치료에서 발생한 것과 일치했다"고 말했다.

이어 "CEND-1의 효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향후 무작위 연구가 진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CEND-1은 위약과의 비교를 위한 임상2상 ASCEND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 연구는 전이성 췌장암 환자 125명을 대상으로 nab-파클리탁셀+젬시타빈+CEND-1과 CEND-1 대신 위약을 투여했을 때를 비교평가한다.

1차 목표점은 무작위배정 이후 치료 18개월째의 무진행생존(PFS)이다. 2차 주요 목표점은 OS, ORR, 이상반응 발생률 등으로 설정됐다.

이 연구는 오는 2024년 10월 완료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