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문진영 전공의, 주거공간 라돈 노출과 백혈병 연관성 분석
생태학적·환자-대조군·생태학적-코호트 연구 등 다각도 메타분석
환자-대조군 연구 결과, 어린이 및 림프구성 백혈병 그룹 발병 연관성 확인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문진영 전공의.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폐암 유발물질로 알려진 라돈이 백혈병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문진영 전공의(교신저자 겸 제1저자) 연구팀 조사 결과, 라돈 노출과 백혈병 발생 간 연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20년 11월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주거공간의 저농도 라돈과 백혈병 발생 관련 연구를 용량-반응 메타분석했다.

용량-반응 메타분석이란 메타분석의 발전된 분석방법으로, 연구별로 노출용량과 그에 따른 위험 정도를 수치화시켜 종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연구방법이다. 

연구팀은 8개의 생태학적 연구, 9개의 환자-대조군 연구, 15개의 생태학적-코호트 연구를 분석했다. 이중 생태학적-코호트 연구는 기존 전통적 연구의 분류체계상 없는 것으로 연구팀이 창안한 분류이다. 

노출 측정 단위는 한 행정구역에서부터 일정 반경의 지역을 거쳐 개인단위까지 줄어든다. 백혈병 발생 측정 단위 역시 한 행정구역에서부터 일정 반경의 지역을 거쳐 개인단위까지 줄어든다. 

개별연구로 노출과 결과 측정 단위들이 모두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생태학적 연구에서 코호트 연구까지의 연속된 스펙트럼상에 있는 연구들은 모두 생태학적-코호트 연구 카테고리로 분류했다. 

연구 결과, 생태학적 연구에서는 피어슨 상관계수가 0.48(95% CI 0.41~0.54)로 두 변수 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분산분석(meta-ANOVA)을 실시한 결과, 어린이 그룹이 어른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관계수가 높았다(어린이: 0.67(95% CI 0.53~0.77) vs 어른: 0.46(95% CI 0.05~0.74)).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용량-반응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오즈비(OR)는 라돈의 방사선량이 100Bq/㎥(베크렐, 방사선량 측정단위) 증가할 때마다 1.0308(95% CI 1.0050~1.057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혈병 종류별, 어린이 및 어른 그룹별로 나눠 분석한 결과, 림프구성 백혈병 그룹은 라돈의 방사선량이 100Bq/㎥ 증가할 때마다 오즈비가 1.0361(95% CI 1.0014~1.0720)만큼 증가했다. 반면 골수구성 백혈병 그룹은 동일 라돈의 방사선량 증가분에 대해 오즈비 변화량이 0.9665(95% CI 0.9171-1.0186)로 사실상 위험이 감소했다. 

어린이 그룹은 라돈의 방사선량이 100Bq/㎥ 증가할 때마다 오즈비가 1.0309(95% CI 1.0050-1.0575)만큼 증가했으나, 어른 그룹은 동일 라돈의 방사선량 증가분에 대해 오즈비가 1.0147(95% CI 0.6121~1.6821)만큼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용량-반응 메타분석의 회귀계수는 림프구성 백혈병 그룹, 어린이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골수구성 백혈병 그룹, 어른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어린이 그룹에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 것은 어른에 비해 어린이의 기관지 상피에 특히 풍부하게 분포해있는 림프구에 기체 상태의 라돈이 영향을 미쳐 흡수선량이 더 많을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어 생태학적-코호트 연구 결과, 100Bq/㎥의 라돈 방사선량 증가당 상대위험도가 1.1221(95% CI 1.0184~1.2363)만큼 증가했다. 

환자-대조군 연구와는 반대로 골수구성 백혈병 그룹과 어른 그룹에서만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했고, 각각 100Bq/㎥의 라돈 방사선량 증가당 골수구성 백혈병 그룹 1.2257(95% CI 1.0034~1.4972), 어른 그룹 1.2503(95% CI 1.0233~1.5276)만큼 상대위험도가 증가했다. 

그러나 연구팀은 기존의 코호트 연구처럼 개인단위 노출측정, 결과측정이 아니기 때문에 위험도가 과대평가 될 수 있어 보수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라돈은 폐암 유발물질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구(IARC)는 발암물질 분류기준에서 폐암에 대해서는 가장 높은 등급인 그룹 1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백혈병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근거가 없어 국제암연구기구의 발암물질 분류에서 한 단계 낮은 그룹 2A에 위치하고 있다.

문진영 전공의는 "생태학적 연구 및 생태학적-코호트 연구라는 새로운 분류 카테고리를 창안해 기존 모든 연구를 용량-반응 메타분석이라는 방법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했다"며 "라돈에서 방출되는 방사선량 증가에 따라 백혈병 발생 위험을 처음으로 체계적 종합했다는 데 연구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주거 공간에서의 라돈 노출 위험을 줄이려면 신축공동주택의 경우 시공자가 실내공기질 관리법의 라돈 농도 기준을 준수했는지 살피는 것이 좋다"면서 "나아가 주기적으로 아파트 관리 위원회 등에서 샘플 가구에 대해 라돈 농도 측정을 시행해보면 아파트 단지의 개별 가구들이 기준 라돈 농도를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Environ Res 2021;202:111714).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