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GFR 억제제 페마지어 이어 신약 이보시데닙 등장
신규 기전 T세포 치료제 가보-셀도 주목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치료 약물이 부족한 대표적 난치성 암종인 담관암에도 희망이 비추고 있다.  2019년부터 새로운 약물들이 등장하면서 치료옵션이 다양해지고 있어서다.

특히 혈액암에만 강점을 보였던 T세포 치료제가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고형암의 일종인 담관암 치료제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으면서 기대감도 커지는 상황이다.

 

포문 연 FGFR 억제제 표적 신약 페마지어 

담관암의 치료 옵션 다양화는 섬유아세포증식인자수용체(FGFR) 억제제 페마지어(성분명 페미가티닙)가 열었다.

페마지어는 FGFR 억제제 계열 최초의 표적항암제로, 2019년 FDA로부터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 성인환자 치료에 신속 승인을 받았다. 다만, 신속 승인인 만큼 향후 임상연구 결과에 따라 담관암 적응증은 달라질 수 있다.

신속 승인은 절제 불가능한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 환자 107명을 대상으로 페마지어의 효능을 평가한 FIGHT-202 연구가 기반이 됐다.

연구에는 이전 치료 중 또는 치료 후 질병이 진행됐고, FGFR2 유전자 융합 또는 재배열을 가진 환자가 포함됐다. 이들은 14일 연속 1일 1회 페마지어 13.5mg 경구투여 후 7일간 치료를 중단했다.

연구 결과, 페마지어의 객관적반응률(ORR)은 36%(95% CI 27-45)로, 이중 3명은 완전반응(CR)을 보였다.

아울러 반응기간(DOR) 중앙값은 9.1개월로 나타났는데, 약물에 반응한 환자 38명 중 24명은 6개월 이상 반응이 지속됐고, 7명은 12개월 이상 이어졌다.

RECIST 1.1에 따른 독립적검토위원회에서 결정한 ORR과 DOR 등 1차 목표점을 충족한 것이다. 

 

IDH1 돌연변이 타깃 '이보시데닙'

아소시트레이트탈수소효소-1(IDH1) 돌연변이 담관암 환자의 치료 옵션도 등장했다.

지난 8월 FDA는 IDH1 돌연변이가 있는 이전에 치료를 받았거나 국소진행성 또는 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 성인 환자 치료에 이보시데닙을 승인했다.

담관암의 일반적인 돌연변이 유전자는 TP53 돌연변이가 42.7%로 가장 많고, KRAS(28.2%), ARID1A(12.1%), IDH1(10.5%) 등의 순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진다.

특히 IDH1은 표적치료 신약을 써볼 수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로 꼽힌다.

이보시데닙의 승인 근거는 IDH1 돌연변이가 있는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담관암 성인 환자 185명을 대상으로 한 ClarlDHy 임상3상 연구다.

연구 참여자들은 젬시타빈 또는 5-플루로우라실 함유 요법을 포함해 적어도 1가지 이상, 2가지 이하의 이전 치료 요법을 진행했다.

이들은 질병이 진행되거나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발생할 때까지 이보시데닙 500mg 1일 1회 경구투여군과 위약군에 2:1 무작위 배정됐다.

1차 목표점은 RECIST 1.1 버전에 따른 독립적검토위원회 결정 무진행생존율(PFS)이었다.

연구 결과, 이보시데닙 투여군은 위약군 대비 PF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HR 0.37; 95% CI 0.25-0.54; P<0.0001).

이보시데닙 투여군의 PFS 중앙값은 2.7개월로, 위약군은 1.4개월로 나타났다.

다만, 2차 목표점인 전체생존율(OS)에서는 각각 10.3개월, 7.5개월(각 중앙값)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이지 못했다(HR 0.79; 95% CI 0.56-1.12; P=0.093).

 

T세포 치료제의 진화 '가보-셀'

T세포 치료제의 변화도 감지된다. 혈액암에 효능이 뛰어난 CAR-T 등 기존 T세포 치료제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대가 모이고 있다.

최근 FDA는 신개념 T세포수용체융합구축T세포(TRuC-T) 치료제 가보-셀(가보캅타진오토류셀)을 담관암 치료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했다.

가보-셀은 T세포수용체융합구조(TRuCs)로 종양을 인식하는 수용체를 T세포수용체에 인식시켜 HLA 분자에 제한 없이 어떤 세포 표면의 항원에도 작용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기전의 T세포 치료제다.

앞서 발표한 임상1상 중간결과에 따르면 가보-셀은 메소텔린 발현 고형암 환자 5명 모두에게서 종양 감소를 확인했다.

메소텔린은 악성 흉막/복막 중피종, 난소암, 담관암, 유방암, 췌장암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고형 종양에서 발현되는 세포 표면 당단백질이다.

메소텔린 과발현은 암세포의 증식, 침습, 전이를 촉진해 악성 형질전환과 종양 공격성 강화 등을 가속한다. 일부 암에서는 더 나쁜 예후를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메소텔린 과발현 광범위 고형종양 중 비소세포폐암, 난소암, 악성 중피종, 담관암 관련 환자는 미국에서만 연간 최대 8만명이 신규로 진된되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악성 중피종 4명, 난소암 1명으로, 평균 5번의 선행 치료 경험이 있었다.

연구 결과, 가보-셀은 모든 환자에서 질병통제율(DCR) 100%를 달성했다.

아울러 40%의 ORR을 보였고, 2명의 환자에게서 부분반응(PR)을 나타냈다.

다만, 가보-셀의 한계도 있었다. T세포 치료제는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과 신경독성이 중대한 부작용으로 해결해야 할 숙제다.

실제 가보-셀은 참여자 3명에게서 CRS가 발생했는데, 2명은 1급이었고 나머지 1명은 3급이었다. 반면 신경독성이나 종양표적세포 외 이상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가보-셀은 불응성 메소텔린 발현 고영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2상의 용량 증량 부분 중간분석 결과를 오는 17일 열리는 유럽임상종양학회(ESMO)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소개될 고형종양에는 악성 중피종, 난소암, 담관암 등이 포함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