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5월부터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 시행
신속대응팀 중재 유무에 따른 사망건수 등 비교분석

ⓒ메디칼업저버 DB
ⓒ메디칼업저버 DB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시행 중인 신속대응시스템의 본사업 전환을 위한 근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신속대응시스템이란 환자의 심정지 등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이전, 전산시스템에 설정된 고위험환자 선별기준에 따라 일반병동 입원환자의 급성악화를 모니터링하고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체계다.

일반병동은 전담전문의가 상주하는 중환자실과 달리 지속적인 감시가 부족하고 보고체계가 복잡하다는 한계가 있다.

그 결과 급성악화 환자에 대한 신속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정부는 지난 2019년 5월부터 의료기관 환자안전 관리 활동지원, 일반병동 입원환자 안전강화 및 의료질 향상을 위해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을 시행해왔다.

여기에 더해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신속대응시스템 시범사업 평가 및 표준모형개발 연구'를 공고했다.

이는 정책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신속대응시스템 보상방식은 물론 한국형 표준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다. 효과를 평가해 본 사업의 전환 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목적에 포함됐다.

실제로 연구에서는 시범사업의 현황 및 효과를 평가하는 부분에 초점이 맞춰졌다.

우선 신속대응시스템에 참여한 기관과 미참여한 기관, 운영 전후 임상결과를 비교분석한다.

임상결과는 ▲심정지 발생률 ▲계획되지 않은 중환자실 입원 ▲예기치 않은 사망 등을 중심으로 개선효과를 살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속대응팀의 중재 유무에 따른 입원일수, 사망건수 등 진료결과를 비교 분석한다.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범사업에 참여한 의사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 전반에 대한 경험도 조사한다.

시범사업의 수가 개선 필요성도 살핀다.

모형별 수가수준 및 수가분류별 운영효과를 분석해 수가모형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특히 한국형 신속대응시스템 표준 모형과 수가 보상방식도 도출할 것으로 보인다.

병상규모와 운영시간, 인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한국형 표준모형을 개발하고, 시범기관별로 달리 적용하고 있는 고위험환자 분류기준 및 신속대응 시스템 활성화에 대한 표준지침을 개발한다.

연구는 7000만원의 예산으로 진행되며, 오는 9월 완료가 목표다.

심평원 의료수가실 관계자는 "시범사업 효과평가를 통해 본사업 전환여부 등 정책 결정에 활용할 것"이라며 "한국형 표준모형과 지침을 개발해 의료질 제고도 유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