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 공공병원장,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 방안 등 논의
"응급실 내 격리 진료공간, 감염관리 체계 정비 필요"

[메디칼업저버 김나현 기자] 국립중앙의료원이 5일 '공공보건의료 선도기관으로서 지역거점공공병원 연계 협력 모색'을 주제로 'CEO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에는 전국 지역거점 공공병원장 3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CEO포럼은 감염병전담병원으로 역할을 수행한 지역거점공공병원의 대응 사례와 국립중앙의료원이 운영하고 있는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의 코로나19(COVID-19)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결과를 토대로 근거 기반의 대책을 수립하고, 지역거점공공병원간 협력 체계를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포럼에서는 ▲코로나19 특성 및 장기화 대응 전략 ▲코로나19 시대 응급의료 안전망 구축 ▲코로나19 권역별 공동대응 협력체계 구축 방안 ▲중증환자 전담 간호인력 양성을 위한 협력방안에 대한 발표가 있었고, 이에 관한 공공병원장들의 종합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코로나19 특성에 따른 대응 전략을 발표한 중앙감염병병원 방지환 운영센터장은 환자의 임상자료에 근거한 과학적 대응방안 수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확진되기 전 무증상 상황에서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의 특성상 정부의 방역대책이 적시성을 놓치지 않아야 하고, 노인 및 비만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대책과 입퇴원 기준 등이 근거기반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립중앙의료원 문성우 중앙응급의료센터장은 응급실 내 격리 진료공간과 감염관리 체계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주영수 기조실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등 획일화된 통제적 방안은 효과 대비 사회적 비용이 크다는 점을 지적하고, 집단발병 고위험 공간과 대상자들을 선별해 선제적 예방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국립중앙의료원 정기현 원장은 "2015년 메르스 사태를 경험하며 공공병원 중심의 공중보건위기 대응력 향상이 절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공공보건의료 체계 확충은 미흡한 실정"이라며 "국립중앙의료원은 중앙감염병병원으로서 고위험군 환자 발생을 억제하고 중환자 중심 치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역거점공공병원과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