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분석, 부모 모두 비만일때 자녀 비만 4.6배 높아

비만한 부모를 둔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에 비해 뚱뚱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빠른 식사속도 등 잘못된 생활습관이 대물림된 결과로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빅데이터 분석결과를 토대로, 부모 비만에 따른 자녀 비만분석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녀 비만율이 약 4.6배 높았다.

부모 모두 비만인 경우 자녀의 비만율이 14.44%로 가장 높고, 엄마만 비만인 경우 8.32%, 아빠만 비만인 경우 6.63%, 부모 모두 비만이 아닌 경우 3.16%로 나타났다.

부모 모두 고도비만인 경우에는 자녀의 비만율이 5배까지 높아졌다.

부모 모두 고도비만일 때 자녀의 비만율이 26.33%로 가장 높았으며, 엄마만 고도비만인 경우 15.16%, 아빠만 고도비만인 경우 11.32%로  부모 모두 고도비만이 아닌 경우(5.26%)에 비해 높았다.

▲부모 비만에 따른 자녀비만 분석

반대로 부모 모두 저체중인 경우 자녀의 비만율이 0%로 가장 낮았다. 엄마만 저체중인 경우 자녀 비만율은 1.9%, 아빠만 저체중인 경우 2.4% 등으로 부모 모두 저체중이 아닌 경우(6.5%)보다 모두 낮은 비만율을 보였다.

여기에는 생활습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공단에 따르면 부모 모두 비만일 때 자녀의 식사속도가 빠르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부모 모두 비만이거나 엄마가 비만인 가정에서 자녀의 TV 2시간 이상 시청 비율도 높았다. 

▲부모비만 여부와 영유아 건강검진 설문결과(영양관련) 분석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 위원장인 문창진 차의과학대학교 교수는 "부모 비만과 영유아 비만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준 의미 있는 결과"라며 "양자간의 상관관계가 생물학적 요인에서 비롯된 부분도 없지 않겠으나, 영유아의 식습관과 TV시청시간이 영유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문 교수는 "이번 분석결과는 영유아비만이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부모의 라이프스타일과 보육방식이 영유아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이에 대한 각별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