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비만관리 종합대책 수립 공청회서 연구결과 공개, 국가관리 필요성 제기

▲ 1일 건보공단 주최로 열린 '비만관리 종합 대책 수립을 위한 공청회'.

고도비만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연간 7262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과 4년 전에 비해 2000억 원 이상이 훌쩍 늘었다.

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보건복지부, 전문가 단체 등 유관기관이 머리를 맞대어 국민 예방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수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건보공단은 1일 본부 지하 대강당에서 '비만관리 종합 대책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열어 지난해 11월 출범한 비만관리대책위원회의 연구활동을 공개하고 의견을 수렴했다. 

성상철 이사장은 "우리사회가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비만문제에 적절히 대처하지 않으면 10년, 20년 뒤에 심각한 건강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며 "비만 예방·관리를 보험자의 핵심 사업으로 인식하고 내년부터 비만예방을 위한 지사별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단 일산병원 조경희 교수팀(가정의학과)이 2002~2003년 일반건강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10년 추적관찰을 통해 추계한 결과에 따르면, 고도비만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1년 이후 매년 연 5000억 원을 넘겨 2009년 4926억 원에서 2013년 7262억 원으로 1.47배 증가했다.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총비용은 2013년 기준 고혈압이 2,731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고(37.6%), 다음으로 2형 당뇨병 1,645억 원(22.7%), 뇌졸중 1,159억 원(16.0%), 허혈성 심질환 555억 원(7.6%), 관절염 403억 원(5.5%) 순이었다.

조 교수는 "10~20대의 식이, 운동 등의 생활습관으로 비만이 유발돼 30대에서 높은 고도 비만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젊은 연령층을 집중 관리대상으로 해야 한다"며 맞춤형 관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 "저소득층에서 고도비만율이 높은데, 비만의 사회적 원인 및 치료의 어려움, 비용과 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를 고려할때 취약 계층에 대한 제도적 접근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토론자로 참여한 고려의대 김선미 교수(가정의학과) 또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소아비만과 고도비만"이라면서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부부가 맞벌이인 경우가 많아 소아청소년들이 방치돼 있기 십상"이라고 밝혔다.

미취학 아동의 건강한 음료섭취와 신체활동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원, 고도비만 치료에 효과적인 비만수술 시행 등이 폭 넓게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 교수는 "다행히 비만수술이 2018년부터 보험 적용을 받을 예정이라 고도비만 치료에 청신호가 보인다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발표된 연구결과와 의견 등을 토대로 비만관리를 '주요 의제화' 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다.  

이두리 사무관(건강정책과)은 "교육부 등 부처간 지속적으로 조율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중장기적 계획 하에 비만관리를 추진해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 2005년에 유사정책이 추진됐으나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은 선례를 밟지 않고 주요 의제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