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치매발병 조기예측 모델 개발...쉽고 저렴해 활용도 높아

 

치매발병 여부를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와 국립보건연구원은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학술연구용역 사업을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치매발병을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됐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용역을 맡은 삼성서울병원 연구진(서상원 교수·장혜민 임상감사·의생명정보센터)은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신경심리검사 결과만으로 개인별 치매발병위험지수를 산출, 3년 내 치매 진행 여부를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는 노모그램을 개발했다.

나이와 기억장애의 양상, 기억장애의 정도, 인지장애의 영역 등 4가지 위험요인을 기초로 해 치매위험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정확도가 75%에 이른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치매 진행 예측 모노그램(삼성서울병원 연구진, 연구책임자 서상원 교수)

일례로 70세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언어와 시각기억장애의 정도가 후기단계이고 다발성 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55(나이 70세) + 37(치매양상) + 15(기억장애의 정도) + 33(인지장애영역의 다중도)’으로 전체점수가 140점이 되고, 점수에 따른 해당 환자가 3년 이내 실제 치매로 진행할 가능성은 80%로 예측된다.

언어기억력 또는 언어기억력과 시각기억력이 함께 저하된 경우, 기억장애의 정도가 심하거나 다발성 인지장애가 있는 경우 치매 전환 가능성이 높았다.

연구팀은 이 노모그램을 이용할 경우 저렴한 가격으로 개인별 치매발병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료진의 입장에서도 진료실에서 쉽고 간단하게 적용이 가능해, 환자와 의사 면담 과정에서 환자 개개인별로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치료방안과 예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현재 치매발병예측에는 주로 뇌영상 검사인 아밀로이드 PET이 이용되고 있으나, 일부 대형병원서만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데다 검사비용이 워낙 고가여서 치매가 발병되지 않은 환자에게 권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상원 교수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치매발병 예측모델을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치매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선별하고 운동요법 및 인지증진프로그램 등 예방적 개입을 도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환자 본인이 치매 발병 위험이 어느 정도인지 아는 것 또한 치매 예방·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치매예측 및 조기진단기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다년간 추적 관찰된 연구대상자로부터 임상정보, 뇌영상정보 및 인체자원을 수집·분석하는 질병관리본부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과제명: 코호트기반 아밀로이드병리관련 생체지표 분석연구)을 통해 지원됐다. 

질병관리본부는“향후 지속적인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사업을 통해 치매 진단정확성을 개선하고, 치매 조기진단기술의 임상적용과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