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 막으려면, 과학적 근거로 의사 규모 결정하는 시스템 구축돼야
수련협의체는 당사자들이 참여 중, 의협 목소리 내는 것 도움 안 돼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31일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가졌다.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이 31일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가졌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위원 명단이 발표되자 대한의사협회가 납득할 수 있는 명단이라고 평가했다. 의료사태가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추계위 등 의료인력 시스템이 구축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지난달 31일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이 같이 밝혔다.

김 대변인은 "정부가 발표한 추계위 명단은 의협을 비롯해 의료계가 비교적 납득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며 "앞으로 추계위를 통해 과학적 근거를 갖고 의사 인력 규모를 결정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면 의료사태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련협의체에 의협이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당사자들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수련협의체에는 의료계 대표로 대한전공의협의회, 수련환경평가위원, 대한수련병원협의회, 대한의학회가 참여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수련 당사자들이 참여해 실무적인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에 의협이 굳이 의견을 더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의협은 다른 경로로 충분히 소통하고 있으며, 필요할 경우 도와주는 위치에 있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제2차 수련협의회에서는 하반기 전공의 모집 필기시험을 8월 16일 실시하고, 지난해 2월 중순 사직한 전공의들의 열흘간 수련 공백을 인정해주는 등의 내용에 합의했다. 

김 대변인은 "전공의 복귀 관련 절차는 어느 정도 행정적인 처리 단계에 있는 상황"이라며 "전공의들의 복귀 규모는 병원 별 과목 TO, 시험 절차 등이 조율되고 나면 윤곽이 드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협에 이은 의대생 대국민 사과 요구 여론에 대해서는 "앞서 의협이 학생들을 대신해 송구하다는 말씀을 국민들께 드린 바 있다"면서도 "다만 의대생들은 전공의와 달리 진료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어떤 부분에 어떤 식으로 사과해야 할지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의협은 주치의제도 대응 TF, 비대면진료 및 공적전자처방전송시스템 대응 TF 발족하고,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