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그때 키 수치가 아니라 지속적인 '흐름'을 관찰해야
아이와 부모가 성장 문제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

키탑 소아청소년과의원 윤종서 원장이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생리적 변화와 성장의 흐름을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키탑 소아청소년과의원 윤종서 원장이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아이의 올바른 성장을 위해 생리적 변화와 성장의 흐름을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메디칼업저버 김지예 기자] 소아의 성장 문제를 단순한 키 수치나 일회성 검사 결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아이의 생리적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제언이 나왔다.

키탑 소아청소년과의원 윤종서 원장은 16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소아의 성장 문제를 단순한 키 수치나 일회성 검사 결과만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아이의 생리적 변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중심에 두고 진료해야 한다"며 "성장과 사춘기라는 '흐름'을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학병원에 근무할 당시 사춘기가 이미 시작된 뒤 한창 진행된 상태에서야 진료실을 찾는 아이들을 자주 만났다"며 "그러나 대학병원은 진료 대기에만 수개월이 걸리는 등 접근성이 떨어져 결국 개입 가능한 시기를 놓치기 쉽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주변 일차의료기관을 통해 성장 진행을 자주 점검하고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성장은 체지방·식습관·운동·수면 등 다양한 일상생활 요건에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생활습관 상담도 병행해야 한다.

무엇보다 아이와 부모가 함께 성장 원리와 자신의 성장 속도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윤 원장은 "아이들의 생활습관이 좋지 않은 이유는 대부분 게으르거나 의지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왜 나쁜지 모르기 때문"이라며 "충분한 시간을 갖고 초콜릿, 사탕, 음료수, 과자 등이 성장과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차분하게 설명해주면 아이들은 의외로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실천한다"고 전했다.

윤 원장은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 사춘기 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내원해 전문가와 상담할 것을 권장했다. 대표적인 사춘기 증상은 △여아의 경우 가슴 발달, 남아의 경우 고환 크기와 색깔 변화 △갑작스러운 식욕 및 체중 증가 △정수리 냄새 변화 △피지분비 증가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에 색소 침착 등이다.

또 아이의 키가 갑작스럽게 커지는 경우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보통 여아의 경우 초등학교 3학년 안팎에, 남아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 안팎에 성장 속도가 비정상적(연 7cm 이상)으로 빨라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이른 사춘기 증상으로 이후 성장이 지연될 수 있으므로 서둘러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키 백분위수가 갑자기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전문가와 상담을 받는 것이 권장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