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최종기 교수팀, 만성 간질환 환자 스타틴 장기복용 효과 분석
600일 이상 복용하면 간암 위험 4.5%, 간부전 위험 10.4%↓
[메디칼업저버 손재원 기자] 고지혈증 치료제로 쓰이는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 간세포암(간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최종기 교수(소화기내과)와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레이먼드 정 교수 연구팀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스타틴 장기 복용 시 간암 발생 위험과 간 섬유화 진행 정도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메스 제너럴 브리검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만성 간질환 환자 1만 6501명을 대상으로 스타틴 복용에 따른 간암과 간부전 발생률, 간 섬유화 진행 여부를 분석했다.
연구에는 2000~2023년에 만성 간질환 진단을 받고 간암이나 간부전 병력이 없는 40세 이상 성인 환자가 참여했다. 이후 스타틴을 복용한 군(스타틴군, 3610명)과 복용하지 않은 군(대조군, 1만 2891명)으로 나눠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 결과, 10년 내 간암 발생률은 스타틴군 3.8%로 대조군 8.0% 대비 낮았다. 간 기능 악화를 의미하는 간성뇌증, 복수, 정맥류 출혈 등 간부전 발생률도 스타틴군 10.6%로 대조군 19.5%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0일 이상 스타틴을 복용한 환자는 간암과 간부전 위험이 대조군 대비 4.5%와 10.4% 감소했다.
아울러 스타틴군은 초기 중등도 간 섬유화 환자 중 14.7%가 10년 내 고위험군으로 악화한 데 비해 대조군은 20.0%로 위험이 더 높았다. 반면 초기 고위험군이 중등도 수준으로 개선된 비율은 스타틴군 31.8%와 대조군 18.8%로 보고됐다.
최종기 교수는 "장기간,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타틴이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암, 간부전 예방과 간 섬유화 진행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만성 간질환에 스타틴을 처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지만,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면 적극적인 사용이 환자 장기 예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JAMA Internal 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