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중대본 중증도 분류별 환자 분담· 야간 진료 보상 강화 등 대책 마련
응급의학회 "오랫동안 주장한 사항…향후 의학회와 협의해 실질적 개선 이뤄지길"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정부가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대책에 나서자, 대한응급의학회가 응급의료 현장의 실질적 개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중앙재난대책안전본부는 7일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응급환자 중증도 분류에 따른 환자 분담 △경증·비응급 환자의 본인부담 상향 △중증응급환자의 야간 진료 보상 강화 등의 대책을 내놨다.
이는 최근 응급실에 내원하는 중등증 환자가 증가해 평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중증·응급 질환 진료가 제한되는 의료기관과 대상 질환이 많아져 응급실 부하가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중대본의 이같은 발표에 응급의학회는 같은 날 입장문을 통해 "이는 해당 분야 전문가 학술단체로서 응급의학회가 오랫동안 일관되게 주장한 사항"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답했다.
의학회는 "정부의 응급의료 정책 방향성 속에서 구체적 실행 계획 수립과 진행 과정에서 응급의학회와 함께 숙의하고 협의해 응급의료 현장의 실질적 개선이 이뤄지길 기대한다"며 "현재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 교수들은 응급환자와 가족의 곁을 지키고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응급의료체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우리의 역할을 다하며 중증응급환자 진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들께서도 정부의 이런 응급의료 대책이 급성 질환과 중증 외상이 발생했을 때 자신과 가족의 생명을 지켜낼 수 있는 올바른 방향임을 이해해달라"고 덧붙였다.
그런가 하면, 의료 공백 등 의료 시스템이 정상적이지 않은 현 시점에서 응급의료 정책이 발표된 것에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다.
의학회는 "정상적인 의대 교육과 충실한 전공의 수련이 불가한 정도의 의대 증원 등 정부의 의료 정책 추진으로 발생한 응급의료 어려움과 국민의 불편과 불안 속에서 이런 정책이 발표된 것은 만시지탄이며 아쉬운 대목"이라며 "국민과 환자, 의료계 모두를 위한 의료 현장 회복과 정상화를 위해 정부가 올바른 의료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