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ODAC, 임핀지 연구 설계 지적
수술 전 및 수술 후 면역보조요법 효능 입증 필수조건 의결
국내 학계, 전체 암종 확대에 경계 목소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메디칼업저버 양영구 기자] 비소세포폐암 분야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보조요법의 효능을 두고 지적이 제기되면서 이를 둘러싼 변화가 감지된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수술 전과 수술 후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보조요법을 추가하는 것을 두고 효능의 차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이제 FDA 종양학약물자문위원회(OADC)는 모든 암종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 모두에서 면역항암제를 보조요법에 추가하는 것과 각 단계에서 면역항암제를 추가하는 것 사이의 효능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연구를 설계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따라 향후 진행될 임상시험에서 이를 입증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임핀지가 쏘아올린 공...보조요법 임상 설계 변화?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FDA ODAC는 절제 가능 조기 비소세포폐암 적응증을 신청한 아스트라제네카 면역항암제 임핀지(성분명 더발루맙)를 두고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단계에서 임핀지를 언제 사용할 때 높은지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을 지시했다.

앞서 임핀지는 임상3상 AEGEAN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전 치료 경험이 없는 절제 가능 성인 2~3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옵션으로 허가를 요청했다.

EGFR, ALK 변이 환자를 제외하고 총 802명이 포함된 이 연구에서 참여자들은 수술 전 임핀지+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 투여 후 수술을 진행하고 임핀지를 투여한 군(임핀지군)과 임핀지+백금기반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수술을 진행 후 위약을 투여한 군(위약군)에 무작위 배정돼 치료를 받았다.

분석 결과, 임핀지군의 17.2%는 병리학적 완전반응(pCR)을 달성, 위약군 4.3% 대비 높은 수치를 보였다(95% CI 8.7~17.6; P=0.000003).

아울러 11.7개월 추적관찰 시 임핀지군은 무사건생존(EFS) 중앙값에 도달하지 않은 반면, 위약군은 25.9개월로 집계되면서(HR 0.68; 95% CI 0.53~0.88; P=0.0039) 1차 목표점을 충족했다.

이를 두고 FDA ODAC는 AEGEAN 연구 설계로는 환자가 수술 전, 수술 후 시점 모두에서 임핀지로부터 어떤 이득을 얻을 수 있는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 
아스트라제네카 임핀지 

수술 후 임핀지를 단독 투여하면 심각한 부작용과 독성에 노출될 수 있으며, 임상적 이점이 없을 수 있어 잠재적 과잉 치료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FDA는 AEGEAN 연구 설계 당시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임핀지를 어느 시점에 투여할 때 효과가 높을지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는 더 많은 임상시험 대상자가 필요하고, 비용도 높아지며, 연구 기간도 2년여 길어질 것이라며 이를 따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FDA ODAC는 절제 가능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수술 전과 수술 후 면역요법을 투여하는 게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도록 제약사에 요청하는 것을 두고 투표를 진행했고, 11명 전원 찬성으로 이를 필수조건으로 삼도록 결정했다. 특히 다른 암종으로 확대 적용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유는 옵디보 때문?
옵디보, 수술 전 보조요법만 사용할 때 재발 위험 줄여

BMS 옵디보 
BMS 옵디보 

FDA ODAC의 이 같은 결정은 절제 가능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BMS 옵디보(니볼루맙)+항암화학 병용요법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절제 가능한 1b~3a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3상 CheckMate-816 연구 결과, 옵디보+항암화학 병용요법은 항암화학요법 단독군 대비 질병 재발 및 사망 위험을 37% 감소시켰다(95% CI 0.43~0.91; P=0.005).

이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수술 전 옵디보+항암화학 병용요법을 받았고, 수술 후에는 따로 옵디보를 이용한 보조요법은 받지 않았다.

또 다른 1차 목표점인 pCR은 옵디보군이 24%, 화학요법군이 2.2%였다(OR 13.94; 95% CI 3.49~55.75; P<0.001).

FDA 변화 예고에 국내 학계는 '경계'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FDA가 수술 전, 수술 후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보조요법의 효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 설계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을 두고 국내 학계에서는 경계하는 반응이다.

수술 후 보조요법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 결과가 공개되는 상황에서 굳이 이를 다시 입증할 필요성에는 의문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옵디보는 CheckMate-816 연구를 통해 수술 전 보조요법만으로 재발 위험 억제를 증명했지만, 추후 수술 후 보조요법의 효과까지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지난해 발표된 절제 가능한 2a~3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CheckMate-77T 연구에서는 옵디보는 항암화학요법군 대비 질병 재발 및 사망 위험을 42% 줄였다(97.36% CI 0.42~0.81; P<0.001).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수술 전 옵디보+항암화학 병용요법을 받고, 수술 후 옵디보를 투여받는 군과 수술 전 항암화학요법 투여 후 수술 후 위약 투여군에 각각 무작위 배정됐다.

pCR은 옵디보군이 25.3%로 위약군 4.7%대비 6.64배 높았다(95% CI 3.40~12.97).

분당서울대병원 김세현 교수(종양내과)는 "FDA의 주장처럼 수술 후 면역항암제 보조요법으로 환자가 부작용에 노출될 우려가 있고, 잠재적으로 과잉 치료의 위험이 높아질 위험이 있다면, 수술 후 환자가 면역항암제를 보조요법으로 사용할 때 최적의 투여기간을 연구하도록 권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 암종으로 확대하는 것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연세암병원 라선영 교수(종양내과)는 "암종마다 수술 전과 수술 후 보조요법의 효과 차이는 다르다. 이를 전체 암종에 적용,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위암을 비롯한 일부 암종에서 면역항암제를 이용한 보조요법은 이미 그 효과를 입증한 상황인데, 효과가 떨어지는 치료를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