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2023년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 공개
엄중식 교수 "임상 현장, 항생제 적절하게 처방해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누리집 등을 통해 2023년(제56차)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를 지난 31일 공개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누리집 등을 통해 2023년(제56차)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를 지난 31일 공개했다.

[메디칼업저버 이주민 기자] 코로나19 팬더믹 이후 호흡기계질환 항생제 처방이 증가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누리집 등을 통해 2023년(제56차)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결과를 지난 31일 공개했다.

약제급여 적정성 평가는 항생제, 주사제 등 국민 보건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 약제의 오·남용을 줄이고 적정사용을 도모하고자 2001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급성상기도감염(감기 등) 및 급성하기도감염(급성기관지염 등)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기에 세균성 질환을 치료하는 항생제 사용은 권장되지 않아, 항생제 처방관리를 위해 항생제처방률 지표를 평가하고 있다.

심평원은 이번 평가에서 전체 의료기관 총 5만 4017개소를 대상으로,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심사 완료된 외래 진료내역을 평가했다.

급성상기도감염 및 급성기관지염 항생제 처방률 증가

그 결과, 감기 등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처방률은 41.42%로 전년도 32.36% 대비 9.06%p 증가하였다. 2002년 73.33%에서 지속 감소해 20여 년 동안 절반으로 감소하는 성과를 이뤘으나, 코로나19 유행 이후 항생제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현황(단위: %,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도별 급성상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현황(단위: %,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 종별로는 병원 50.97%, 의원 40.90%, 종합병원 32.79% 순으로 항생제 처방률이 높았고, 상급종합병원이 4.44%로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영유아가 48.68%로 급성상기도감염에 항생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였고, 소아청소년 42.89%, 성인 40.37%이며 노인이 27.24%로 가장 낮았다.

급성기관지염 등 급성하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도 59.76%로, 전년도 54.06% 대비 5.70%p 증가했다. 

△연도별 급성하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현황(단위: %,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연도별 급성하기도감염 항생제처방률 현황(단위: %, 자료출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 60.09%, 병원 58.53%, 종합병원 46.67% 순으로 항생제 처방률이 높았고, 상급종합병원이 8.87%로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영유아가 62.65%로 가장 높았고, 소아청소년 61.72%, 성인 60.13%, 노인이 44.30% 순이었다.

또 2020~2023년 외래 진료내역을 분석한 결과, 급성 상·하기도감염(주상병 기준)으로 진료한 명세서 건수는 코로나19 유행 후 급격히 감소, 2021년에는 코로나19 이전의 절반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 

심평원은 마스크 착용과 개인위생수칙 준수, 사회적 거리두기 등 코로나19 방역조치로 다른 호흡기계 질환이 함께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가천대 길병원 엄중식 교수(감염내과)는 약제평가 결과를 두고 "코로나19 엔데믹 후 다양한 호흡기 감염증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유행하면서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의 감별 진단이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하기도감염이 발생한 경우는 세균에 의한 2차 감염을 우려해 항생제 처방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임상 현장의 어려움이 있지만 항생제는 적절하게 처방하지 않으면 부작용 발생 위험과 항생제 내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급성 상·하기도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 감염인 만큼 항생제 처방을 최소화하는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평원 김기원 평가관리실장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항생제 처방률이 다시 오른 만큼 앞으로 질 향상 지원 등 의료기관 지원을 강화하고, 가감지급사업을 개선하는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