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백일해 환자 최다 발생…전 세계적 유행
11~12세까지 6차 접종 완료해야
[메디칼업저버 박서영 기자] 올해 백일해 환자가 지난해 동기간 대비 33.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총 6회 소아 예방접종이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질병청은 올해 백일해 환자가 4월 24일 기준 365명으로 전년 동기간 발생한 11명보다 환자수가 33.2배 증가했고, 최근 10년 간 동기간 대비 최다 발생이라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12세 이하 어린이가 216명(59.2%)으로 가장 많았고, 13~19세에서 92명(25.2%), 60세 이상 32명(8.8%)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교육시설 중심으로 집단발생이 보고된 경남(182명, 49.9%), 경기(56명, 15.3%) 부산(47명, 12.9%)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유럽질병예방통제센터(ECDC)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유럽 각지에서도 소아청소년에서 백일해가 유행하는 실정이다.
백일해, 전파력 강하고 영아의 경우 중증 가능성 높아
단체생활하는 4~12세는 백일해 접종 반드시 필요
백일해는 보르데텔라 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제2급 법정 감염병으로 콧물이나 경미한 기침으로 시작해, 발작성 기침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로 기침할 때 공기중으로 튀어나온 비말을 통해 전파되며, 면역력이 없는 집단에서는 1명이 12명에서 17명을 감염시킬 만큼 전파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일해(DTaP) 예방접종률은 초등학교 입학생 DTaP 5차 96.8%, 중학교 입학생의 Tdap(또는 Td) 6차 82.5%로 확인된다.
특히 감염 시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1세 미만 영아 대상 적기 접종(생후 2개월, 4개월, 6개월)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어린이집 등에서 단체생활이 시작되는 시기인 4~12세는 백일해 접종(5~6차)을 맞아야 한다.
접종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백일해에 감염되거나, 감염 시 주변 친구, 형제자매들에게 전파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추가 접종에 반드시 참여하고, 학교와 지자체에서도 접종을 적극 독려할 필요가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올해는 전세계적으로 아동청소년 위주 백일해가 유행하고 있는 추세임을 감안해 유행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유행지역 중심 상황점검회의를 통해 유행 상황 대응에 만전을 다할 예정”이라고 했다.
- [알림] 질병청, 2024 말라리아 심포지엄 개최
- 질병청 “감염병 위기대응 위해 소통 체계 보완해야”
- 팬데믹 끝났다…코로나19 위기 단계, 경계⟶관심으로 하향
- 늘어나는 폐동맥고혈압 치료제로 질환 '극복' 한 발짝
- 질병청, 4월부터 폐렴구균 신규 백신 예방접종 시작
- 질병청, 영국 보건안보청과 감염병 대응 협력 강화
- 질병청, 신종감염병 대비 의료대응 관계기관 협의체 개최
- 질병청, 폭염 대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 질병청, 국제 컨퍼런스서 항생제 내성관리 방안 논의
- 질병청, 역학조사로 추가 결핵환자 200명 조기 발견
- 전국 백일해 유행 확산…정부, 예방접종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