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재택치료자 응급이송체계 강화 방안 발표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코로나19(COVID-19) 재택치료 과정에서 응급상황이 발생했을 때 감염병전담 구급차를 우선 출동하는 응급이송체계가 강화된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손영래 사회전략반장은 17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일반 응급환자 이송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효율적인 코로나19 재택치료자 이송체계를 구축하는 응급이송체계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손 전략반장에 따르면, 단순증상 발현 등 일반상황에서는 보건소 또는 민간 구급차로 이송하고, 호흡곤란 및 의식저하 등 응급상황이거나 중증도·위급도가 판단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119구급차로 이송한다.

시도별 119종합상황실에서는 재택치료관리팀(또는 관리의료기관)과 24시간 핫라인을 구축해 정보를 공유한다.

재택치료자 응급이송이 필요한 경우 출동 119구급대원에 정확한 정보 전달로 환자상태에 맞는 응급처치를 하고, 적정 병원으로 신속하게 이송한다는 것이다.

손 전략반장은 "전국의 감염병 전담구급차 295대를 포함한 119구급차 1581대는 상황 발생 시 즉각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며 "재택치료자 응급이송은 전담구급차가 우선 출동하고, 전담구급차가 없거나 또는 원거리에 있는 경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일반 구급차가 출동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초응급상황은 전담·일반 구분없이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구급차가 출동한다.

손 전략반장은 "소방청은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과 재택치료 확대에 따라 119 구급대의 확진환자 및 재택치료자 응급이송 수요 증가에 대비해 차질없는 이송체계를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의료인력 지원과 관련해 손 전략반장은 "총 2185명의 의료인력을 의료현장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구체적으로 의사 154명, 간호사 1392명 등 의료인력이 지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기관이 환자 진료나 방역 업무에 필요한 인력 요청을 할 경우 현재 가지고 있는 자원풀에서 의료인력을 현장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그 비용도 함께 보조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령층과 요양병원, 요양시설 등의 취약한 시설에 대해 추가접종 기간을 단축한다고 밝혔다.

손 전략반장은 "현재 예상보다 고령층과 취약시설의 예방접종 이후 면역 저하 효과가 빨리 나타나고 있다"며 "고령층과 취약시설 감염도 증가하는 양상으로, 추가접종 일정에 따라 예방접종에 꼭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