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병실 1인실에서 2~3인실로 확대
병원계 병실 입원환자 수 늘려봐야 인력 부족으로 실효성 의문
준중증 환자 병상 입원환자 확대 의료인력 업무과중 우려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 뱅크.
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 뱅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으로 위중중 환자 수가 499명까지 증가해의료대응체계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방역당국이 궁여지책으로 코로나19 치료병실 입원환자 수를 확대할 방침이지만, 의료현장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최근 대한병원협회를 통해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운영 기준 완화 방침을 전달했으며, 권덕철 복지부 장관은 1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의료대응 강화 대책 일환으로 병상 효율화 계획을 발표했다.

중수본은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즉각 대응을 위해 코로나19 음압격리병실당 시설기준 및 입원환자 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음압격리병실 시설·이격거리 기준 완화와 환자 수 확대  

병원계에 따르면, 중수본은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을 운영 중인 의료기관이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병실당 입원 가능한 환자 수를 확대해 운영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이다.

다만, 환자 불편 및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병시을 운영·관리해야 하며, 확대 운영되는 병상에도 손실보상 기준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코로나19 중증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중수본 지정을 받은 병상으로, 인공호흡기 이상의 장비와 시설을 갖추고, 중환자 치료 인력까지 확보돼 즉시 입원이 가능한 병상이다.

중증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음압격리병실은 전실이 1인실로, 병상당 이격거리 면적은 15㎡ 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하지만, 이번 중수본 기준 완화로 인해 이격거리 및 1인 입원 환자 수가 완화된다는 것.

즉 음압격리실 내 2~3명의 코로나19 중증환자가 입원해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증병상 충분한 확보 없이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의료체계 붕괴

이런 방역당국의 지침 완화에 대해 병원계는 현실성이 떨어어지고, 오히려 의료진의 업무 가중으로 인해 환자 치료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중증환자를 치료하는 음압격리병실은 산소공급라인이나 석션 등 기기가 병실당 하나씩 설치돼 있어 중증환자들을 나눠 사용할 수 없어 1인실을 2~3인실로 전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감염내과 A 교수는 "정부의 이번 의료대응 강화 대책 중 병실당 환자 수 확대는 기존 중증환자 치료 병실 또는 준중증 치료병실에 환자만 더 넣겠다는 것으로 중증환자 치료에는 불가능하다"며 "일반 산소투여를 하는 준중증 병상에서는 환자 수를 늘릴 수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A 교수는 이어 "준중증 환자를 병실에 더 입원시키게 되면 결국 의료진이 감당해야 할 환자가 늘어나게 된다"며 "환자 증가에 따라 자칫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다른 상급종합병원 관계자는 "이번 방역당국의 대응 계획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며 "치료 환자를 더 늘리게 되면 의료진의 업무 부담이 늘어나고, 의료진 중 퇴직하는 일이 벌어져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현장에서는 수용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한편, 상급종합병원 현장에서는 이번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이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됐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중증병상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 추진돼 현장이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충분히 중증병상을 확보해 일상회복을 시작한 나라들도 확진자 급증으로 의료체계가 붕괴되고 있다는 것이다.

병원계 관계자는 "의료현장에서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중중병상 확보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정부가 현실적인 노력을 했는지 의문이 든다"며 "정부가 실질적인 확진자 발생 예측이 정교하지 못했던 것 같다. 의료진도 부족해 현장에서는 아우성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