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희 반장,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이상반응 감시 지속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코로나19 백신접종 후 이상반응 사례로 백혈병 발생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방역당국은 코로나19 백신접종과 백혈병 발생 근거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장.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장.

조은희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장은 2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대한혈액학회 자문 결과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 백혈병을 유발 또는 촉발한다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결론내렸다고 전했다.

대한혈액학회는 접종 후 단기간 내 백혈병 발생은 기존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으며, 코로나19 백신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 등 기존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는 입장이다.

조 반장은 "국가 암등록 통계에서는 국내에서 매년 3500여 명의 환자가 새롭게 백혈병 진단을 받고, 60세 이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고,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권고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역시 급성백혈병 관련 국내 이상반응 보고 건 수가 매우 미미한 수준이라는 의견이다.

식약처는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내 이상반응 사례 및 해외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는 입장이다.

조 반장은 "향후에도 관련 학회 및 식약처와 국외 최신동향 등을 면밀히 검토하겠다"며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검토 및 정보 공유를 지속하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2일 화이자 백신 52만 6500만회분과 개별 계약된 모더나 백신 102만 1000회분이 인천공항에 도착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조 반장은 "오늘 도입되는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을 포함해 지난 1일부터 2일까지 424만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며 "누적으로 5282만회분의 백신이 공급된다"고 밝혔다.

이어 "모더나 백신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라며 "예방접종을 차질없이 진행할 수 있는 충분한 물량이 도입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되는 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