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현장 의료진 판단 존중해 중증 부작용 환자 철저 대비 지적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최근 제주도에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한 20대 여성이 사망한 가운데, 의협이 질병청의 행정 만능주의가 불러온 참상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대한의사협회는 11일 '제주 20대 모더나 백신 접종자 사망 관련 입장문'을 통해 사망한 20대 여성에 대해 애도를 표하며, 유가족에게 심심한 위로와 함께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한 의료진에게도 격려를 전했다.

이어 의협은 이번 제주 20대 여성의 사망에 대해 전형적인 행정만능주의에서 비롯된 사건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전 세계적으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지만, 이번 사건이 더욱 논란이 되는 것은 환자의 실제 상태를 세밀히 살피지 않고, 의료진의 판단을 외면한 질병관리청의 형식적이고, 행정편의적인 결정 때문이라는 것이다.

의료진은 환자가 중증 이상반응을 보였을 때 감별 진단을 위해 TTS검사(혈전증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지자체 방역당국 역시 의료진 판단에 따라 검사를 수차례 요청했지만, 질병청은 백신 종류가 행정지침과 다르다는 이유로 지자체 요청을 거부했다는 것이다.

의협은 "코로나19 백신은 안전성이 확보돼 접종이 진행되고 있지만 백신 개발 및 인체투여까지의 과정이 2년도 채 경과되지 않아 다양한 상황에 대한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며 "접종 후 중증 이상반응에 대해 환자의 상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현장 의료진과 전문가의 의견이 가장 우선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침 운운하는 관료주의적 행정 처리로 현자의 목소리가 전혀 반영되지 못했다"며 "결과적으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것에 대해 안타깝다"고 유감은 나타냈다.

의협은 이 같은 사례가 재발되지 않도록 일선 전문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며, 일선 의료기관들ㅇ리 백신 접종 환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세심히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는 사망 및 중증 부작용 발생에 대비해 철저한 모니터링에 힘쓰고 의료진의 소견에 대한 적극 수용을 통해 우선적인 조치가 취해질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협은 "의료계의 컨트롤타워로서 전국 의료기관들의 백신 접종 현장을 대변하는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며 "의료진들이 충준한 환자상태 관찰과 이상반응 확인 후 접종은 물론, 의학적 근거와 최신지견을 반영해 안전한 접종을 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