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코로나19 대책 전문委, AZ 백신 접종 연령 완화 우려 지적
내과의사회, 원칙 입각한 백신 접종 정책 수립 촉구
[메디칼업저버 신형주 기자] 방역당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무원칙적이고, 행정편의주의적인 정책 결정에 대해 의료계가 반발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3일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을 기존 50세 이상에서 희망자에 한해 30세 이상까지 완화하는 방침을 밝히면서 의료계가 깊은 우려감과 함께 원칙있는 정책 결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방역당국은 지난 6월 29일 예방접종전문위원회를 개최하고, 7월부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50세 이상으로 권고 했다.
50세 미만은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발생 위험이 높다는 판단 때문이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권고안 발표 1개월만인 지난 13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기존 50세 이상으로 유지하되, 위탁의료기관, 보건소, 요양병원·요양시설 등에서 30세 이상 희망자를 대상으로 아스트라제네카 잔여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고 입장을 번복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4차 대유행 확산을 막고, 백신 접종률을 제고하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폐기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의학적 원칙과 과학적 접근이 아닌 정치적 접근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모더나의 백신 도입이 차질을 빚으면서 아스트제네카 백신으로 대체하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까지 불거지고 있다.
방역당국의 이 같은 방침이 발표되면서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 전문위원회는 깊은 우려감을 나타냈다.
코로나19 대책 전문위원회는 50세 미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2차 예방접종은 타 백신에 비해 예방적 효과 대비 백신 관련 이상 사건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 희망자라고 하더라도 우선적으로 고려되기에는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영국, 미국, 스웨덴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한 란셋 결과를 토대로 55세 이하에서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 모두에서 전신부작용이 더 높았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접종률 대비 부작용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전문위원회는 잠재적인 위험성이 더욱 높은 50세 미만 인구에 대한 백신 접종 필요성 논의는 더 필요하다고 방역당국의 결정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냈다.
한편, 대한내과의사회는 방역당국의 전반적인 백신 접종 정책이 무원칙적이며, 행정편의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
내과의사회는 '원칙에 입각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책 수립을 촉구한다'는 성명을 통해 하루에도 몇번씩 바뀌는 접종 지침과 의학적 원칙 위반되는 백신 접종 대상 변경으로 일선 접종기관들은 점점 지쳐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의사회는 지금이라도 정부가 의료계와 진심어린 소통을 통해 원칙에 입각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사회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백신 접종 완료율은 OECD 38개국 중 최하위로,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세계 평균 접종 완료율에 못미치는 국가로 전락했다는 것이다.
한국은 1일 100만회 접종도 가능한 의료 역량을 갖췄지만 접종 완료율이 저조한 것은 백신 부족이 원인이라는 것이다.
의사회는 "모더나의 예정된 물량이 절반 이하로 공급되고, 3분기 내 도입하기로 계약한 노바벡스 백신 2000만명분 수급 불안정이 접종 지침을 변경시키고 있다"며 "지침 변경은 의료인 뿐만 아니라 국민까지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치명적 혈정 부작용으로 인해 50대로 기준을 올린지 한 달여만에 다시 30대 이상으로 지침을 변경했다"며 "지침 번복은 같은 의료인의 양심으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의사회는 방역당국의 잔여 백신 활용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접종 시스템의 폐쇄성, 잔역 백신의 예약자 노쇼, 상대적으로 IT 시스템에 취약한 고령자의 역차별 등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의사회는 "의료계는 이 같은 문제점 시정을 요구했지만, 정부는 원칙만을 내세워 현재의 불편한 시스템을 고수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잔여 백신의 폐기가 늘고 접종기관들의 피로감도 극에 달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 잦은 접종 지침 변경으로 인해 접종일이 뒤죽박죽으로 얽혀 휴진일과 추석 연휴기간에도 예약이 강제 지정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의사회는 "하루에도 몇번씩 바뀌는 지침들이 문자와 메일로 전달돼 접종하고 있는 중에도 혹시 잘못된 접종을 하고 있지 않난 노심초사 하고 있는 것이 의료현장의 현실"이라며 "행정편의 위주의 지침번복과 일방통행식 업무처리 방식으로 일선 접종기관의 불만이 하늘을 찌르고 있다"고 전했다.
빈번한 접종 지침 변경과 의학적 원칙에 위반되는 백신 접종 대상 변경으로 일선 의료기관들은 지쳐가고, 국민들은 백신에 대한 불만과 불안도 높아지고 있다.
의사회는 "의료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최일선에서 예방 접종에 헌신하고 있다"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의료계와 진심으로 소통하고, 원칙에 입각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