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암등록본부 통계, 암 발생률 3년째 감소 추세...생존율은 지속 향상

2014년 새로 확인된 암 환자수가 21만 7057명으로 집계됐다. 암종별로는 갑상선암 발생자가 가장 많았으며,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등이 뒤를 이었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는 20일 '2014년 암 발생률, 암 생존율 및 암유병률 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4년 새로 발생한 암 환자수는 남자 11만 2882명, 여자 10만 4175명 등 모두 21만 7057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 22만 7188명에 비해 다소 줄어든 것이다.

암 발생률은 2012년 이후 3년째 감소 추세다. 전체 발생률은 2012년 10만 명당 323.3명에 달했으나 이후 연평 6.5%씩 감소, 2014년도 10만 명당 289.1명을 기록하고 있다. 

▲2014년 주요 암종 발생자수 및 발생분율(단위: 명)

남녀 전체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었으며 위암, 대장암,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이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자는 위암, 폐암, 대장암, 간암, 전립선암, 갑상선암 순으로 발생자가 수가 많았으며 여자는 갑상선암, 유방암, 대장암, 위암, 폐암 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다만 연도별 갑상선암 발생자 수는 감소추세다. 2014년 갑상선암 발생자 수는 3만 806명으로 전년도 대비 28.1%(1만 2017명), 발생률은 10만명 당 20.2명이 줄었다.

복지부는 "그동안 초음파 등을 통해 작은 암을 발견해 왔으나,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으로 발견 및 수술 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며 "갑상산암 발생자 수가 줄어든 것이 전체 암 발생자수 감소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갑상선암과 더불어 대장암과 위암, 간암의 발생자 수 또한 전년대비 각각 3.2%, 1.6%, 1%가 감소했다. 여자 유방암 또한 2005년 이후 증가율이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요 암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남녀 전체

한편 암 환자 생존율을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5년간 암 환자의 6년 상대생존율은 79.3%로, 2001~2005년 생존율 53.9% 대비 16.4%p가 늘었다.

암종별 5년 생존율은 위암 74.4%, 전립선암 93.3%, 간암 32.8%, 대장암 76.3%, 폐암 25.1%로 2001~2005년 대비 각각 16.7%p, 13.0%p, 12.6%p, 9.7%p, 8.9%p 향상됐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대수명(82세)까지 생존할 경우 암에 걸릴 확률은 36.2%였으며, 남자(79세)는 5명 중 2명(38.7%), 여자(85세)는 3명 중 1명(33.1%)에서 암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세계표준인구로 보정한 우리나라 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65.7명으로, OECD 평균(270.3명)과 비슷한 수준이다. 

▲2014년 주요 암종의 진단 후 경과 기간별 암유병자수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