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전담전문의제 단기적 사업 아냐...정부, 제도화에 확고한 의지"

보건복지부가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 활성화를 위해 의료계가 적극 나서달라고 호소했다.

정부는 호스피탈리스트를 제도화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며, 이번 시범사업이 제도화의 시금석이 될 것인 만큼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함께 힘을 모아달라는 당부다.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이스란 과장

보건복지부 의료자원정책과 이스란 과장은 9일 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이 같이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입원환자 안전관리 강화 방안이자, 전공의 인력공백의 대안으로 지난 9월, 입원전담전문의제 이른바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에 돌입한 바 있다.

시범사업 참여병원은 전국 모두 31곳. 그러나 이 중 실제 입원전담전문의를 채용, 운영 중인 곳은 현재까지 분당서울대병원·충북대병원·순천향천안병원·서울대병원·인하대병원 등 5곳, 활동 중인 입원전담전문의 숫자는 11명에 그치고 있다.

이스란 과장은 "호스피탈리스트 제도는 민간에서 시작해, 정부가 공식 시범사업으로 끌고 온 매우 의미있는 사업"이라며 "그러나 생각보다 그 내용이 잘 알려지지 못한데다, 여러가지 불안감이 겹쳐 예상보다는 시범사업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적지 않은 의료인들은 고용의 불안정성, 병원은 낮은 수가를  이유로 각기 지원과 채용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 정부도 이 같은 고민을 잘 알고 있고, 해법을 고민하고 있다.

이 과장은 "수가의 경우, 아직 시범사업 기간 중이라 추가로 요구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다만 병원의 요구가 크고, 시범사업 결과 또한 괜찮다면 향후 의료 질 평가시 가산점을 주는 등의 방식으로 추가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용의 불안정성이 크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가 직접 고용하는 형태가 아니다보니 직접적으로 해결하긴 어렵지만, 호스피탈리스트를 채용하는 것이 병원입장에서도 도움이 된다는 신호를 주는 것으로 처우 안정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호스피탈리스트 제도화에 대해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여러차례 강조했다.

이스란 과장은 "호스피탈리스트 사업은 단기적으로 끝날 사업이 아니다"라며 "시범사업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향후 본사업, 제도의 모형이 달라질 수 있는 만큼 올바른 한국형 호스피탈리스트 제도의 정착을 위해 의료계가 정부와 함께 힘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