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A, 고혈압 · 당뇨 등 만성질환관리에 원격모니터링 효과

정부가 원격의료 재추진 의지를 여러 통로를 통해 강하게 보이고 있어 앞으로의 행보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한 것을 시작으로 미래보건의료포럼 창립을 하면서 원격의료 강행 의사를 보였다. 여기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NECA)이 1일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관리에 원격모니터링이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NECA는 원격의료서비스 유형 중 원격으로 만성질환자를 관찰·상담·교육하는 '원격모니터링'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려고 고혈압, 당뇨, 심부전 환자 대상 선행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원격모니터링'은 만성질환 관리를 목적으로 원격의료 장비 등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해  환혈압, 혈당 등 생체정보가 의료진에게 전송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이 이뤄지는 중재법을 뜻한다. 

NECA측은 "문헌고찰은 원격모니터링 중재로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RCTs)을 시행한 문헌만을 선정했고, 양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이 가능할 경우 메타분석을 했으며 불가능한 경우 질적 검토(qualitative review) 방법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최종 선택된 문헌은 총 102편으로 질환별로 고혈압 20편(19.6%), 제2형 당뇨병 44편(43.1%), 심부전 38편(37.3%)이고, 연구국가별로 한국 12편(11.8%), 미국 51편(50%), 기타 국가 39편(38.2%)이었다.

메타분석 문헌은 주요 결과지표별로 고혈압(수축기 혈압) 11편, 당뇨병(당화혈색소) 24편, 심부전(전체사망률) 20편이었다. 

분석 결과 고혈압, 당뇨병, 심부전 환자 모두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임상적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 대비,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에서 고혈압 환자는 수축기 혈압이 4.7㎜Hg, 이완기혈압이 1.9㎜Hg이 더 낮고, 당뇨병 환자는 당화혈색소가 0.4%p 가량 더 낮고, 심부전 환자는 전체 사망위험이 18%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이 대조군보다 당뇨병환자는 당화혈색소 목표치(7% 미만) 달성률이 1.9배 높았고, 고혈압 환자의 목표혈압 달성률은 1.3배 더 높았다.     ·

질환별로 중재유형이나 연구설계 특성들을 고려한 하위군 메타분석한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임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고혈압) 피드백이 음성이외 방식으로 이루어진 경우(△5.0㎜Hg), 중재자의 판단에 의해 피드백이 이뤄진 경우(△5.1mmHg) 등에서 원격모니터링 중재군의 수축기혈압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원격 모니터링의 이완기혈압 감소 효과는 생체정보 전송이 주 1회 이뤄진 경우(△4.3mmHg) 등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뇨병) 생체정보를 주 1회 전송한 경우(△0.51%p), 매일 또는 실시간 피드백이 이루어진 경우(△0.57%p), 피드백을 음성으로 한 경우(△0.28%p), 생체정보 전송장비가 원격장비인 경우(△0.21%p) 등에서 대조군에 비해 원격 모니터링군의 당화혈색소가 낮게 나타났다.  

(심부전) 복약모니터링을 제공했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원격 모니터링군의 전체 사망 위험이 36% 가량 더 낮았고, 매일 생체정보(환자의 체중, 혈압, 심박수 등)를 전송한 경우 전체 사망 위험이 21% 정도 더 낮았으며, 원격장비를 통해 생체정보를 전송한 경우 전체 사망 위험이 23% 정도 더 낮게 나타났다.  

연구책임자 박동아 연구위원은 "연구결과, 고혈압·당뇨병·심부전 환자 대상 원격 모니터링이 임상적 지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중재법임을 확인했다"며 "원격모니터링 중재법은 진료의 대체나 고혈압·당뇨병·심부전의 치료제로서의 기능이 아닌, 대면진료의 보조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본 문헌고찰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