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당뇨병학회, "스타틴 당뇨병 발생한다는 NECA 연구는 교란변수 보정했지만 여전히 부족"

대한당뇨병학회가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NECA)이 5월 19일 발표한 '스타틴 사용과 당뇨 위험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두고 연구 방법상 오류가 있어 과다하게 위험이 추정된 것은 아닌지를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NECA의 본 연구에서 스타틴을 복용한 한국인에서 당뇨병 발생 위험이 평균 88% 증가한다고 발표한 점을 두고 이 같은 큰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근거와 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학회는 24일 성명서를 통해 "이미 수많은 임상시험 자료를 메타분석한 결과 스타틴이 당뇨병 발병 위험을 9~27%까지 높인다고 보고된 바 있다"면서 "88%라는 수치(NECA 연구결과)를 두고 이 연구에 방법상 오류가 있어 과다하게 추정된 것은 아닌지, 아니면 한국인에게 특별히 스타틴으로 인한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은 것인지에 대한 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지난 19일 NECA가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지혈증(총콜레스테롤 240mg/dL 이상) 치료로 스타틴 처방군과 비처방군을 비교한 결과 스타틴군이 비스타틴군 대비  당뇨병 발생 위험도가 1.88배. 평균 88% 상승했고 복용 기간과 용량에 비례하여 최대 2.62배 높았다.

하지만 학회는 NECA의 연구결과를 후항적 코호트 연구로 청구자료를 토대로 스타틴 처방군의 특성을 파악한 후 당뇨병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많은 교란변수를 보정했지만 여전히 고려하지 못한 변수들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학회는 심혈관질환 조기 발생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스타틴을 처방했을 수 있음을 지적하며 "HDL 콜레스테롤이 낮은 경우 등 단지 콜레스테롤만 높은 것이 아니라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은 경우를 따져서 약물 처방을 시작했을 수 있는데 이런 변수들이 연구에서는 반영될 수 없었던 한계가 있다"는 설명이다.

즉 나열한 변수는 바로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에 해당하는 것으로 당뇨병의 고위험상태라고 할 수 있다는 것.

학회는 "섣불리 이런 후향적 연구결과를 가지고 스타틴 관련 진료지침에 적용하는 오류는 경계해야 한다"면서 "건강보험 자료를 토대로 임상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자료 특성을 정확히 알고 연구를 설계하고 분석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건강과 보건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민감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공인된 학술지 등 동료 평가의 과정을 거친 후 공개적으로 발표해야 한다"는 신중함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