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욱 교수, 의료기관 자발적 참여위한 역량강화·지원방안 필요

“메르스 때 질병관리본부도, 검역소도, 병원내 감염관리하는 인력도 있었지만 문제가 커졌다. 이는 그나마 인프라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아서다.”

 

고려대 예방의학교실 최재욱 교수는 지난 29일 신종감염병 공동대응을 위한 포럼에서 ‘신종감염병 조기발견을 위한 의료기관의 역할과 지원방안’이란 발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동안 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사태에서 국가방역체계의 미흡한 부분을 지적하고 제대로 된 인프라를 구축해야하는 의견과는 달리, 그나마 ‘있던’ 인프라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일이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는 게 최 교수의 지적이다.

지난해 발생한 메르스 사태를 통해 정부는 감염병관리 민관협의체를 통해 국가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단기/중장기 과제 등을 수립했다. 정부가 수립한 과제들로는 ▲병문안 문화 개선 ▲응급실 감염관리 강화 ▲감염관리 인프라 확대 ▲감염관리활동 평가 체계화 및 보상 강화 ▲의료기관 시설기준 개선 등이다.

정부의 개선안에 대해 그는 “주요 계획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소요재원 추계와 실질적인 재정조달 계획이 미흡하다”며 “의료기관이 수행해야하는 감염병관리대책에 대한 재정지원과 비용지급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메르스 때 질병관리본부, 검역소가 없었던 것도 아니다. 병원내 감염관리하는 인력도 있었다”며 “국가방역체계를 위한 인프라가 나름대로 갖춰져 있음에도 메르스 사태 때 제대로 돌아가지 못했는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감염병 유입차단 ▲조기발견/진단 ▲조기치료/확산방지 ▲예방 및 R&D ▲정책과 행정관리/역량강화로 구성된 국가방역체계 전주기 단계 중 조기발견 단계에서의 의료기관 역할과 책임, 역량강화를 이끌어낼 분석과 고민이 필요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국가방역체계 전주기 단계에서 의료기관의 게이트키퍼 역할과 함께 조기발견 단계에서의 의료기관 역할과 책임, 역량강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분석과 고민이 필요하다”며 “민간의료기관에서 차단이 안 된다면 국가방역체계라는 시스템이 마비되기 때문에 취약한 부분을 찾아 의료제공자와 질병관리본부가 함께 부족한 부분을 채워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스템 구성 요소 중 조직 규정, 조직, 인프라 구축, R&D에 대한 정책이 마련돼 있으나 재정조달과 시스템 운영관리 즉, 역량 강화 부문에 대한 정책 개발이 향후 핵심과제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그는 응급실 감염관리 강화 및 과밀화 해소에 대한 정부의 대책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를 해결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감염관리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는 일반 지역사회 개인의원보다는 대형병원 응급실에 모아 집중관리하는 편이 나을 수 있다”며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를 해결하면서 동시에 중소병원, 의원의 감염관리 시스템 마련도 맞물려 돌아가지 않으면 더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업저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